인생의 짧음에 관하여
딘 리클스 지음, 허윤정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물리학, 과학 철학, 역사를 공부하고 가르치는 저자의 이력과 논문 주제들이 무척 흥미롭다. 20세기의 나도 물리학에서 설명하는 시간이 새롭고 놀라워서 논문 주제로 삼았다.

 

20대엔 전혀 실감하지 못했던 인생의 짧음을 지금은 매일 느낀다. 한 주나 한 달 단위로 사라지는 시간감각을 애통해하며 사는 중이다. 남은 시간은 얼마일까. 그 생각만 떠올려도 생이 안타깝고 애틋하다.

 

감정적이고 동시에 엄정한 현실인 이 주제에 대해 차분하게 읽으며 배우고 생각해볼 기회가 반갑고 귀하다. 짧은 한번뿐인 인생, 인류는 좀 더 평화롭고 즐겁게 서로 어울려 살 수는 왜 없을까... 늘 궁금하다.

 

시간이 한 방향으로 흐르고 그러면서 과거 사건들이 더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인간에게 중요한 온갖 함의가 있다.”

 





 

극소수의 사람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인생을 준비하다가 인생이 끝나버립니다.” 세네카, 인생의 짧음에 관하여의 첫머리

 

작고 가벼운 책을 만나면 기분이 좋아서, 한동안 가방에 넣어 다닌다. 이 책은 외모와 달리 깊이 판 문장의 우울 같은 사유가 가득하지만,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친절하고 살가운 어조를 띤 문장들로 기록되었다.

 

팬데믹의 울울한 시간 동안, 누군가는 이런 글을 쓰고 있었구나, 생각하면 올려다본 먼 하늘 한쪽이 반짝거리는 듯하다. 슬프고 황망한 갑작스런 이별이 많았지만, 삶과 죽음에 대해 깊이 고찰하기에도 적합한 시기였다.

 

죽음은 유한한 경계를 제공하기 때문에 의미에 결정적이다. 사실 그게 이 책의 핵심이다. (...) 존재에 생기를 불어넣고 효용을 주는 선물로 여겨야 한다.”

 

통째로 외울 듯 밑줄을 많이 그었지만, 다 읽고 나니 오히려 주제 파악이 간명하게 된 듯해서 기쁘다. 30년 전에도 지금도 늘 관심사이자 미스터리인, 시간 자체와 그 시간의 일방향성, 그래서 정해진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죽음, 그 끝. 그리고 그 과정인 삶의 애달픔과 애틋함과 안타까움.

 

기적처럼 태어나 반드시 죽는다, 는 운명을 알고도, 시간의 소중함을 절감하지 못하고 산다. 때론 그저 존재하기만하거나, ‘크게 낭비하기도한다 시간 도둑*. 그런 시간을 다 모으면 체감 인생이 더 길어질 지도 모르겠다.

 

* 어떤 일을 정말 해야만 한다는 걸 알면서도 미루는 경우

 

헷갈리게 하지 않는 이 책은 주제에 밀착해서 조언을 거듭 건넨다. 짧은 생을 제대로 살아라” “낭비하지 말아라” “숙고해서 행동하고 미래를 만들어라”... 세네카가 하지 말라는 걸 다 하면서 사는 중이다. 또 반성한다.

 

죽음이 점점 선명해지는 반환점을 돈 나이라서, 그 조바심과 안타까움을 이 책에 적힌 미래의 가소성으로 바꿔 읽으니 격려가 된다. 중요한 건 행동이라고 동의하면서도, 미래를 만드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걸 알면서도, ‘생각만 하다 멈춘다. 운이 좋아 먼저 행동한 이들의 덕을 보며 살아볼 생각을 더 많이 한다. 인지 기능이 손상되지 않은 채 고령으로 생존 중이라면, 그 미래의 나는 현재의 나를 또 부끄러워할 것이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의지적 행위이고 가지치기 과정이 필요하다. 관계도 사물도 공간도 시간도 좀 더 가지치기가 필요하다. 지향하는 미래가 현실이 되려면, 열심히 상상하고 행위로 선택하는 것만이 시간 병**이 아닌, 본래적 삶***을 사는 방식이다.

 

** disease of time, 미래에 대한 형편없는 의사 결정, 우리가 죽지 않고 영원히 살 것처럼 저지르는 행위

 

*** 의식이 있고 의미가 있는 좋은 삶. 행동과 목표가 일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