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살인 - 폭주하는 더위는 어떻게 우리 삶을 파괴하는가
제프 구델 지음, 왕수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깜짝 놀랐지만,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적지 않은 현실에 마음이 한없이 무거워집니다. 좌절과 포기는 마지막에 하면 되니, 하루라도 빨리 공감대가 커지고 유의미한 전 지구적 행동이 이어져야겠지요. 두렵기도 하지만 정확히 알기 위해서, 가족, 친구, 동료, 이웃... 누구라도 함께 많이 읽게 되길 바라는 책입니다.

 



................................



 

“2023년은 기록상 가장 온난한 해였던 것으로 판명 났을 뿐 아니라 모든 예측치의 신뢰 구간에서도 상당히 엇나갔다. (...) 2023년에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 20235, a)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424ppm(정점을 찍었다. 지난 80만년을 통틀어 최고 수치. 이산화탄소는 곧 열이다. , 앞으로 기후는 계속 뜨거워진다.) b)엘니뇨 발생 c) 점점 따뜻해지는 바다.

 

2023년은 위험한 기후변화를 억제하기 위한 경계가 허물어진 순간이었다(제임스 핸슨James Hansen). 우리는 1.5도의 한계를 더 이상 지켜낼 수 없다. 애초에 소수를 제외하면 지킬 의지도 없었던 듯하다. 혹은 다들 이미 열기에 미쳐서 이렇게 반드시 죽을 방식으로만 살고 있던가.

 

특정 지역과 국가에서 재생에너지 활용도가 높아지고,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고, 전기 열펌프 시장이 급성장하면 기후변화를 조절할 수 있을까. 다른 쪽에서 탄소를 펑펑 배출하는 전쟁을 계속하고, 80억 인구는 욕망과 소비 어느 쪽도 그만둘 의사가 전혀 없어 보이고, 화석연료는 계속 생산하고 소비 중이다.

 

화석연료가 단계적으로 퇴출되기 전까지 이 세상은 점점 더 살기 위험하고 비싸고 불안정한 곳이 될 겁니다. (...) 앞으로 수백만 명 이상이 기후변화의 최전선으로 내몰리고 그중 상당수가 죽을 것입니다.”

 

더위, 가뭄, 전쟁으로 이미 죽어가는 이들의 수는 계산할 때마다 기록을 갱신하다. 이미 빙하는 거의 다 녹았고 부서지고 있는 중이며, 염도가 낮아진 해류가 흐름을 멈추면 어떤 대재앙이 일어날지 모른다. 그전에 전지구적 감염병은 어떻게 얼마나 창궐할지 조마조마하다.

유일한 희망이자 해법은 하나뿐이다. “오늘 우리가 어떻게 행동하느냐.” 어떻게든 (이산화탄소를) 쏟아내지 않으려는 노력, 기후문제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정치인에게 던지는 한 표. 뭐라도 해야겠다는 결의.

 

내가 탄 배에 물이 차오르는데 선장한테 무슨 일이냐고 묻고만 있어서야 되겠습니까. 당장 양동이를 집어 들고 물을 퍼내야지요.”

 

진화의 속도를 벗어난, 폭염에 최적화된 돌연변이가 태어나지 않는 이상, 인간은 멸종한다. 체온이 40도만 되어도 인간은 죽는다. 지구 전체 기후가 2도 상승이란 것은, 내가 아는 계절별 온도에서 2도 올라간다는 의미가 아니다.

 

과학자들이 말하는 열돔heat dome이 형성되었다. 24시간도 채 되지 않아 포틀랜드 시내의 기온은 24.4도에서 45.5도까지 치솟아 147년의 관측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 과학자들이 말하는 앞으로의 더위는, 철로를 휘게 한다거나 목숨이 위태롭다는 사실을 알아챌 새도 없이 나를 죽일 수도 있는 그런 힘이다.” 확실한 사실은, 이 더위가 화석연료를 태운 결과라는 것이다.” 인간이 만든, 인류 문명의 유산이다.

 

1초에 핵폭탄 3개가 터져 방출되는 열의 양을 지금 해양이 흡수 중이다. 해양의 흡수력은 어떤 상태일까. 한번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에 수천 년 머문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더위로 아비규환이 되는 지구에 머물며 최대한 추가 배출을 막는 것뿐이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은 결국 하나의 단순한 운명을 함께한다. “익숙해져 있던 온도**가 너무 많이, 너무 빨리 오르면 살아 있는 모든 것은 죽는다.”

 

** 골디락스 존 혹은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혹은 생명 가능 지대, Habitable Zone / HZ






 

유럽에 극우세력이 급부상하고, 미국 대선도 암담하고, 산유국의 미몽을 꾸는 한국정부에 희망을 품긴 어렵지만, 기후소송을 하고, 목소리를 내고, 행동하는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을 보면 뭐라도 계속하며 살아야한다는 생각이 더 단단해집니다.

 

함께 읽고 공부하는 이들이 많아지면 좋을 책입니다. 현실은 두렵고 만만치 않지만, 배운 걸 티내며 행동하면 바뀝니다. 인간의 역사는 오직 그렇게만 만들어져 왔습니다. 그 가능성에 의지하며, ‘행동이 많아지고 희생이 덜 하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