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로 읽는 법구경 - 삶을 이끄는 지혜의 징검다리
법구 지음, 이규호 해제 / 문예춘추사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처럼 경전 문해력이 없는 이들도 꼭 읽게 해주겠다는 의지로 만든 다정한 책 같다. 아무 데나 펼쳐 보았더니,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이 되라”, 측은지심과 함께 도덕과 법의 기본. 부끄러움을 모르고 측은지심이 없는 듯한 말과 행동이 적지 않아 괴로운 시절.

 

사람들 앞에서 부끄러워하는 것은 선한 감정이다. 그러나 자기 자신 앞에서 부끄러워하는 것은 한층 더 다음다운 감정이다. 남이 갖지 못하는 부끄러움, 뉘우침을 갖고 있는 것만큼 그 사람의 도덕적 완성의 단계를 확실하게 나타내는 것은 없다.”

 

.......................................


 

그냥 병이 나서 열이 나는 건지, 화가 나서 들끓는 건지도, 헷갈리는 요즘이다. 이런 상태로 억지로 뭘 해봐야 될 리가 없다. 문장은 논리적이니까, 더구나 법구경*이니까 오늘이 아니면 언제, 라는 심정으로 읽기 시작했다.

 

* 법구경은 담마파다Dhammapada, 즉 진리의 말씀. “불교 경전 중 가장 널리 읽히고 많이 읽힌다. “삶의 현장을 확연히 보여주어 행위의 지침으로 삼게 했다는 점 때문.”

 

10장까지 그냥 읽기만 했는데 좀 차분해진다. 일어나서 스트레칭하고 물마시고 다시 읽는다. 열이 좀 내려간다. 입 다물고 심호흡하며 책 읽고 물 마시기는 늘 도움이 된다. 이제 밑줄도 긋고 조금 필사도 해본다.

 

마음속에 뜨거운 불을 지피면 마음은 어쩔 수 없이 활활 타오른다. (...) 마음을 일컬어 허령불매虛靈不昧라고 말한다. 마음은 형체가 없어 텅 비었으니 그 작용은 뛰어나 신령하고 밝다는 뜻이다.”

 

나는 유심론자가 아니지만, 마음보다는 몸 상태와 호르몬과 수치들을 먼저 살피지만, 이렇게 발끈거리는 태도는 타인과 의학의 도움보다 내 노력이 필요한 일이다. 도대체 이토록 얄팍한 인간으로 늙어갈 이유가 무엇이란 말인가. 나 왜 이러지, 싶다.

 

분노와 어리석음은 언제나 나란히 함께 다닌다. 그대가 그들을 다스리지 못하면 마침내 그들이 그대를 다스리게 된다.”

 

게으르고 체력도 나쁘니 그 덕에 욕심이 적(은 편이라고 생각한). 조심스럽게 곰곰이 생각하는 시간에, 버릇처럼 튀어나오는 발끈거림 대신에, 오랜 생각, 양심, 의지가 실려 묵직하고 단단한 말들이 나오면 좋겠다. 그 말에 선한 의지가 있다면 행동으로 이어지면 좋겠다.

 

어리석은 자가 상황을 장악하고 있을 때는 사악한 자가 지위하고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끔찍한 일이 일어나기 쉽다.”

 

삶이란 복잡한 여러 단계를 숙고하고 진중한 계획을 세워서 성실하게 실행해야 겨우 끔찍한 일을 피할 수 있는 조건에서만 작동하는 것인가, 그런 생각을 하면 의지가 탁 꺾인다. 정말 사는 일이 그렇게 고되어야할까. 그런데 그런 면면이 필요하다. 개인의 삶에서도 사회 시스템은 더욱. 그렇지 못했을 때의 전조와 비극을 현실에서 거듭 목격한다.

 

머리가 텅 빈 사람의 머릿속이 정말로 비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곳은 오히려 쓰레기로 가득 차 있다. 그렇기에 그 머릿속으로는 옳은 것을 집어넣으려 해도 들어가지 않는다.”

 

아침에 깨면 심장이 너무 뛰어서 공황인줄 알고 병원에 갔더니, 심한 빈혈이라고 철분주사 맞으라고 해서 맞았더니 호전되는 경우, 소화가 안 되고 열이 나서 소화제만 먹다가 정신과 치료 받으니 몇 달 만에 나았다는 경우, 인간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몸으로 겪는다. 머리를 비우려고 하는 나의 자구책들도 실은 다 엉망인지 모르겠다.

 

과오를 범해놓고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만큼 자주 과오를 범하는 사람도 없다.”

 

습관처럼 반복되는 유사한 과오들의 원인을 실은 알고 있다. 변화보다 외면이 쉬워서 잠시잠간 넘기고 잊은 듯 살다 과오들에 점점 더 넓은 자리를 내어주는 꼴이다. 알면서 행하지 않는 죄가 크다.

 

불교 경전에 대한 막연한 기대는 무지만큼 허황되지만, 오늘은 읽을 수 있어서 차분해졌다. 천천히 읽고 한참 생각하고 비울 수 있는 만큼 비우기에 좋다. 담담하고 쉬운 문장들이다. 남은 내용이 더 많아서 든든하다. 천천히, 천천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