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데몬 코퍼헤드
바버라 킹솔버 지음, 강동혁 옮김 / 은행나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편소설이 좋다. 단편을 읽는 재미를 여러 해 전에 겨우 배웠지만. 긴 이야기 속에 파묻히는 그 세계로 이동하는, 한참을 그곳에 머무는 시간이 더 행복하다. 그래서 설레는 간만의 벽돌책,

 

이 모든 일이 일어난 날은 수요일이었다. 나쁜 수요일로 예정된. 슬픔 등등으로 가득 찬.”

 

이 작품을 시작하게 한 질문은 무엇일까. 내가 발견할 질문은 무엇일까. 요즘은 문득... 멸종이 아직은 미래의 일이지만, 내가 아는 세상은 벌써 끝난 것도 같다. 벽돌집처럼 단단하다고 생각한 것들, 생물종으로서, 인류로서, 시민으로서 합의한 생존 조건들이 무너져 내리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아니 붙잡을 새도 없이 사라져버리는 듯하다.

 

어떤 아침에는 내가 지키는 규칙이 아직도 적용되고 있는 지를 확인하고 싶어진다. 무엇을 해야 하는지, 이렇게 살고만 있어도 되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장대한 작품이 더 든든하다. 오래 붙잡고 있으려고 100쪽 남짓만 매일 읽을 결심을 했다.

 

마지막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당신은 이게 끝은 아니겠지, 싶은 마음으로 이 글을 읽게 될 것이다.”

 

100쪽만 읽었을 뿐인데, 태어나는 순간부터 내내 주인공 아이가 너무 고단하다. 숨을 몰아쉬기를 몇 번이나. 나는 가본 적 없는 온갖 위협이 가득한 세상에서 아직 살아간다. 커가고 있다. 잠시 내 목의 통증도 잊혔다. 제목을 다시 보았다. 이제 이름(Demon Copperhead)이 주는 느낌이 선명해진다.




 

그 다음엔 쪽수를 세지 못하고 계속 읽게 되었다. 이 아이가 빨리 자라서 힘을 가지게 되어, 머리 위로 쏟아지는 죽어라죽어라 하는 것들을 다 물리치길 바라기도 하고, 요령 있게 피해서 모두 비웃듯 신나게 살기를 바라기도 하고, 어쨌든 죽지 않기를 응원하는 심정이 되었다.

 

대체로 내게 자란다는 건 계속 살아남는다는 뜻이었다.”

 

데몬은 죽지 않았지만, 엄마는 죽었다. 데몬도 학교를 다니고, 재능을 찾고, 하고 싶은 욕구를 발견하고, 당연한 권리처럼 주어졌어야 하는 평범한 일들이 데몬의 이전 삶과 대비되어 독자인 내 눈이 잠시 부셨다. 뒤틀린 시스템과 짐스러운 구조가 그리 쉽게 누군가를 놓아줄 리가 없는데, 살짝 유치해도 좋을 그런 해피엔딩을 기대하게 되었다.

 

나는 가만히 앉아서,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고 싶은 마음으로 나의 시간이 째깍째깍 흘러가는 것을 지켜보았다.”

 

일면식도 없는 소설 속 인물을 응원하며, 나는 파멸을 막는 조력자와 같은 심정으로, 이제까지 읽은 분량만큼이 데몬의 생존기가 되어, 그 기록의 힘이 생존 이상의 삶을 만들어내기를 바랐다. 이상하게도 내가 아는 행복의 내용은 무엇도 맞지 않았지만, 작은 선물 같은 일들은 있어도 좋지 않을까, 조금 더 간절해졌다.

 

다른 누군가가 나의 행복을 바란 적이 있을까? 그랬다면 나를 아주 잘 속여 넘긴 셈이다. 나는 그런 사람이 있다고 생각한 적이 한 번도 없으니까.”

 

마음 졸인 것이 작가에게 미안한 작품의 마무리를 만난다. 소설의 세계가 마지막 문장들 덕분에 책 속에 머물지 않고 현실로 쭉 발을 뻗는 느낌이다. 내가 모르는 것들은 얼마나 많은 걸까, 얼마나 넓은 세계일까. ‘생존자인 모두를 섣부르게 판단하지 않을 결심을 다시 한다. 서로를 그렇게 봐주기를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