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Do You Want? 왓 두 유 원트? - 선택, 결심, 변화를 이끄는 결정적 질문
김호 지음 / 푸른숲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변화에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당하는 것에 저항할 뿐이다." (어빙 보윅Irving Borwick)

 

하고 싶은 일들이 있다. 오래... 생각 속에서만 업데이트 되고 있다. 삶을 만드는 건 딱 두 가지라는데, ‘하거나 하지 않거나.’ 하기 싫은데 하고 싶다고 스스로에게 거짓말을 해온 걸까. 어떤 계기가 필요한 진짜 욕망일까. 변화가 조금 두렵고 그만큼 기대되니 궁금한 책이다.

 

코칭은 스스로 변화하고자 하는 사람을 돕기 위한 대화입니다.”

 

용도와 형식을 분명하게 해주니 읽는 방식과 찾아야할 조언도 확실해져서 좋다. ‘질문 선집이자 질문 독해집이고, 코칭 노트와 세션과 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목도 질문이고, 주된 내용도 제대로 된 필요한, “변화이 계기를 만들어내는질문들을 찾아보는 과정이자 훈련이다.

 

새로운 삶을 살아가고 싶다면 때로 불편한 질문, 정답이 없는 질문도 마주해야 합니다.”

 

난해하거나 아주 낯선 내용이 없어서 생각이 더 많아지고 마음이 아프기도 하다. 내가 외면하거나 회피하거나 여러 이유를 찾아가며 유예한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그 점을 알고 있으면서도 그저 덮어두고 있는 질문의 답, 구체화, 현실화에 대해 스스로에게 어떤 죄책감도 들기 때문이다.

 

- 그 계획은 얼마나 구체적인가요?

- ‘...하고 나면I will do when...’이라는 덫에 걸려 있지는 않나요?

- 해봐야 안다

- 고민만으로는 답이 나오질 않습니다. 여러 번에 걸친 작은 실험들이 꼭 필요합니다.

- 매번 같은 고민을 반복하고 사나요?

- 타협할 수 있는 질문 - 약속 - 인가요?

 

내가 태어난 사회에 속한 삶이란, 사회가 전하는 시나리오대로 살아가는 것이다. 그게 잘 맞는 사람일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어려워도 자신만의 시나리오 - 질문과 계획 - 이 필요해진다. 그리고 그런 능력은 태생적으로 주어지거나 한순간에 생겨나지 않는다.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나를 이해하고자 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외부 강연이 아닙니다. 노트를 펴고 내가 나와의 인터뷰에서 물어야 할 질문이 무엇인지를 적어가야 합니다.”

 

호흡을 고르고, 다시 처음부터 책 내용을 따라 생각해본다. 정말로 원하는 것이 그것이었는지, 막연하게 원한다고 생각한 것이었는지.” 내 삶에서 중요한 관계들을 생각하며, 관계 속의 나 말고 나는 무엇인지. 선택의 여지가 있는지 등. 질문이 더 많아진다.

 

우리는 결정을 미룬 채 위험을 관리한다고 생각하지만, 혹시 위험을 마냥 미루고있는 것은 아닌지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패가 달갑지 않고, 그에 따른 기회비용도 아깝다. 실패를 경험할 여유가 있는 상태라는 생각도 들지 않고, 대체로 이런 이유들로 시도가 어렵다. “변화가 필연적으로 갖고 있는 위험과 불확실성을 감당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그러니 일상이 루틴이길 바라고, 작은 돌발조차 큰 스트레스로 느껴진다.

 

책에서 내가 가진 문제점들을 확실하게 지적해줄 때마다 -시도 속에서 불안감과 불확실성은 벌금이 아닌 입장료일 뿐입니다 - 무척 아프다. 왜 우물쭈물하는지 변명의 여지가 없어진다. “받아들여야 할일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내가 한 질문도 시나리오도 언젠가 폐기되고 말 것이다.

 

자신과 자신의 질문을 바로 만나게 하는 무섭게 확실한 책이다. 용기가 필요할 때, 용기가 생겼을 때, 다시 펼쳐 읽고 싶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