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의 흑역사 - 이토록 기묘하고 알수록 경이로운
마크 딩먼 지음, 이은정 옮김 / 부키 / 2024년 3월
평점 :
뇌과학, 신경과학을 대중과학서로 읽으면서 배울 수 있을까, 20세기에는 엄두가 안 나는 상상 같았지만, 이제는 재밌게 배울 수 있는 책도 출간된다. 우주만큼 어려울 것도 같지만 그만큼 흥미로울 연구 주제다.
솔직히 암보다 뇌질환이 더 무섭다. 아니 굳이 특정 질환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조금씩 ‘이상’한 뇌(기능)를 가졌다. 그러니 사례들은 얼마나 Bizarre(원제)한지
차근차근 읽고 배워 볼 결심이다.
..................................................
뇌가 고장한 사례에 관해 이렇게 다양한 진단과 명칭이 존재하는 줄 몰랐다. 그나마 익숙한 건 서번트 증후군 정도. 내 뇌는 이게 정말일까, 사실일까, 내가 읽는 게 읽고 있는 게 맞나, 하고 놀라며 문장을 따라갔다.
인간은 누구나 뇌를 가졌지만, 문제의 양상을 보면, 일반적이고 공통적이라기보다는, 사회 문화적 요인이 커 보인다. 꿈이나 전생, 사후세계에 관한 사회 문화적 묘사가 모두 다르듯이.
뇌가 기능하기 때문에, 아주 사소한 것부터 큰 도전까지 가능하지만, 뇌기능 중에는 인류를 큰 함정에 빠트리고,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하는 방식도 적지 않다. 무엇을 문제로 간주하는가는 각자의 가치판단에 따라 또 다를 것이지만.
최근에 유전자의 무자비한 생존과 번식 욕망과 프로그램에 대해 읽었기 때문에, 못마땅한(?) 뇌기능 방식에 대해 이전처럼 화가 나거나 불만이 먼저 튀어나오진 않는다. 그럼에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묻고 살피고 싶다.
‘정상성이란 무엇이며 얼마나 엉터리일 수 있는지.’
동일 분류에 속할 수 있는 뇌가 두 개도 없다는 측면에서 - 모두 다른 존재 - ‘정상’이란 개념 자체가 상당히 무의미해진다. 뇌 연구자(마크 딩먼)가 ‘정상적인 뇌’라는 개념 자체가 비현실적이라고 말해줘서 안도한다.
읽기 시작할 때 증상들에 놀랐지만,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내 생각의 근거가 ‘이상하지 않은’ 즉 ‘정상’에서 비롯한다는 것을 다시 깨닫는다. 이렇게 선을 그어 나누는 버릇을 없애고 싶은데, 오랜 버릇이라 알아차리기도 쉽지 않다.
그러니까, 이상한 사례들은 인구수만큼 커다란 스펙트럼 어딘가에 분포한, 종종 이상한 내가 보이는 사례들과 별개의 것이 아닌 것들이다. 우리 모두는 뇌가 펼쳐낸 하나의 우주 어딘가에서 모두 이상하게 살아가고 있다.
“정신의학은 전통적으로 양자택일식 접근법을 취해왔다. (...) 그러나 어떤 유형의 행동이든 인간 성향의 범위 안에 속하며 (...) 중간 영역에 머무르는 사람 중에서도 비정상적인 경향은 있으며 우리도 가끔 이러한 경향을 보인다.”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경험하지 못한 사례에는 앞으로도 낯설어하고 놀라기도 하겠지만, 그건 위에서 언급했듯이 사회 문화적 차이와 영향 때문일 것이다. 복잡하고 불안하고 불완전한 뇌가 만들어내는 조합은 무궁무진하니까.
다 알 수 없으니, 이런저런 방식으로 조금 더 이해해보려 애쓰는 것도 조금은 덜 적대적인 세상을 만드는 편에 속하지 않을까 한다. 내 뇌가 언제까지 이 정도라도 기능할지 알 수가 없다. 이렇게 생각한 뒤 보이는 모든 풍경이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