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의 무능한 탐정들 두 번째 원고
김혜빈 외 지음 / 사계절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로로 긴 색다른 판형의 책이다. 표지 일러스트도 재밌다. 작가마다의 문을 열고 들어가면 어떤 공간에 닿을까... 순서대로 읽을까 표제작부터 읽을까 즐거운 고민을 하며 펼친다.

 




...........................................

 


세상에... 맙소사... 이건 이 책을 읽는 동안 떠오른 입 밖에는 내지 않은 말들이다. 별별 일들, 별별 인간들을 겪으면서도 내 세대와는 다르게(일반화의 위험 주의!) 반응하는 면면이 놀랍기도 하고, 그래서 더 복잡하게 힘들어졌겠구나 싶은, 새삼스럽게 인간으로 산다는 것의 고단함이 느껴져서도 그렇다.

 

늑대인간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고, 그 존재를 자신의 일상을 틀을 깰 계기로 보고, 납작하고 단순하게 저 혼자 좋을 대로 분명하게 가른 관계를 태연하게 거부하며, 기성세대보다 밝은 눈으로 특정할 수 없는 분류될 수 없는 존재들을 인정하는 대화.

 

포용력 있고 깊이 있는 사고를 하는 이들은 이 세상에서 살아가기가 더 외롭다. 비슷한 동류들은 모이지 않고, 불문율처럼 각자가 홀로 맴돌며 조용히 살아가거나 사라지는 편을 택할 지도 모른다.

 

결국 모든 건 외로움이 문제인 것 같아.”

 

그 외로움은 신체활동이 제한된 풍경과, 열렬한 믿음의 공간들에서도 마찬가지로 느껴진다. 뜨거울수록 처절하게 외롭다. 진심이라서 강박이 되고, 외부를 향하면 상대를 숨 막히게 하는 금기와 제약이 된다. 실패와 상실은 무례와 욕설과 적의를 품게 한다.

 

남들이 보기에 불쌍한 것이 명백한데 이모는 스스로를 박복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럼 별 수 없었다. 동정이 공포와 혐오로 넘어가는 건 쉬운 일이었으니까.”

 

함께 견뎌야 하는 시간을 견디는 방법은 무엇일까. 처음에는 선명했던 저항의 대상이 알 수 없는 지경에 이르도록 대면하는 시간은 누군가를 무언과 무기력으로 떨어뜨리기도 한다.

 

다른 작가의 다른 작품들인데, 읽어갈수록 형태가 다른 포장 속 같은 내용물인 외로움이 여기저기서 삐져나온다. 새로운 단편이 궁금해서 계속 읽고 싶은 마음과 짐작할 수 없는 방식의 외로움을 만날 두려움이 교차했다.

 

원래 이 세상이란 게 말이야. 어질어질하고 복잡한 거야. 토할 것처럼.”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는 이들, 그래서 자신이 정말 존재하는지 무섬증이 드는 이들, 휘발되는 시선과 관심은 어떤 순간에 어떤 의미라도 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이토록 외롭고 멀어지는 사람들 사이의 사랑과 연대란 무엇일까.

 

그러니 같이 걸어볼까요. 마음이 엇갈려도 괜찮으니까. 짠짜라짜잔 하고.”

 

기성세대의 것은 결국 그들의 것이었으니 얼마든지 의심해도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자신들의 진짜를 찾아야한다. 낯설더라고 고민이 되더라도 아무리 허약해보이더라도.

 

서늘하게 외롭지만 진짜를 찾는 통증, 처음 만난 작가들 모두의 다음 작품이 궁금해진다는 것으로... 무겁고 아프게 읽은 시간 모두가 좋았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