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보우 내 인생 도넛문고 7
윤해연 지음 / 다른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상’, ‘비정상이란 표현은 사어(死語), 역사적 기록으로만 남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점을 찍고 선을 긋는 것이 아닌 무지개처럼 연속적인 스펙트럼 어딘가에 그저 인간인 우리가 함께 어울려 사는 꿈.

 

청소년과 함께 어른 독자도 읽으면 좋을 책일 거라 기대한다.


 

............................................

 

우리나라에서 레즈비언 부부로 사는 것이 얼마나 험한 일인지 이제부터 낱낱이 알게 될 것이다. 아니, 레즈비언 부부의 아이로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험난한 것인지 그걸 알려 주고 싶다.”

 

물론 힘든 이유는 레즈비언 보호자 때문이 아니다. 원망이 일차적으로 가장 가까운 이들에게 향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그래서 함께 더 깊이 생각해보고, 힘듦과 괴로움이 어디에서 기인하는 가를 살피는 일이 중요하다.

 

읽다 생각해보니, 청소년 문학을 자주 읽는 편인데도 성소수자 가정의 아이로서, 청소년 당사자의 시선으로 성소수자의 일상을 따라가며 경험하는 것은 처음인가 한다(기억력에 전혀 자신이 없지만).

 

담임의 유형으로 지차면 이번 담임은 어설픈 유형에 가깝다. 제일 가관은 잘난 척 유형이다. (...) 미주알고주알 내 사정을 다 알려고 하고 내 고통을 먼저 안다는 듯이 앞서갔다. (...)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설레발을 치는 바람에 다른 선생님들까지 내 처지를 알아 버렸다.”

 

청소년의 주 생활공간은 가정, 학교, 학원, 동네다. 보호자와 더불어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이 큰 이는 교사다. 어떤 담임을 만나는가가 한 해를 지옥으로도 평범한 일상으로도 만들 수 있을 듯해 긴장이 되었다.

 

네 두려움은 불완전해서가 아니야. 다르다는 게 널 불안하게 하는 걸 거야. 그저 세상이 만들어 놓은 틀일 뿐인데, 왜 그럴까? 결국, 약속이잖아. (...) 그건 절대적인 게 아니야. 그게 나랑 맞는지 그걸 생각했어. (...) 조금 다른 가족일 뿐이야.”

 

애정으로 함께 하는 가족인데, 문서상으로는 타인이다. 자신이 고아였다 입양된 사실을 아는 청소년은 느낄 억울함, 두려움, 연결 지점이 없다는 슬픔 등이 아주 평범하고 생생한 일상 사건을 통해 잘 묘사된다. 미처 생각이 닿지 못한 풍경들이라서 많이 배운다.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한 거짓말들이 아프다.

 

이 아이가 정말 여자아이 같은가요? 저도 오랜 시간 간절하게 바랐습니다. 딸로 살아가길요. 하지만 보세요. 이 아이는 남자아이였어요. 이걸 받아들이는 데 40년이 걸렸습니다. 더는 기다리기가 힘이 들어요.”

 

성 정체성은 한 존재의 일부일 뿐인데, 알게 되면 그 이유만으로 사람을 증오하고 버리고 병에 걸린 것처럼 취급하고 혐오하고... 그 혐오가 점점 굳고 세져서 신념처럼 확고해지고. 태어나마자마 일방적으로 지정당하는 성별이 있고*, 그건 정체성과 무관할 경우가 있다.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성으로 살 수 있어야 하는 게 아닐까. * 지정성별

 

선입견과 편견이 항존하고, 이해와 공존이 어려운 관계와 현실이라도, 사랑과 우정과 여지와 희망은 있다. 어떤 결론도 내리지 않지만, 도망가지 않고 애써볼 거라는 결심에는 옆에 함께 해주는 이들이 있어서 최고의 해피엔딩처럼 느껴진다. 다른 방향을 향해서 달리는 이들이 만들어내는 다채로운 무지갯빛이, 비온 뒤 만나는 무지개와 다를 바 없는 일상이 되는 미래를 함께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