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란다 복제하기 ㅣ 사계절 1318 문고 143
캐럴 마타스 지음, 김다봄 옮김 / 사계절 / 2024년 1월
평점 :
장기 이식을 위한 복제인간이란 소재가 낯설지 않아서, 기술만 해결되면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이들은 기꺼이 할 것 같아서, 어쩌면 ‘어떤’ 복제는 이미 암암리에 유통 매매 되는 것도 같아서, 살짝 두렵기도 합니다.
‘의학’의 치료 대상과 연구 범위는 내게는 불문명하고 혼란스러울 때가 적지 않습니다. 장기 이식이 가능해진지는 오래지요. 저도 장기기증서명을 한 상태이도 합니다. 가장 힘든 질문은 치료 대상이 나와 내 가족이고, 만약 충분한 자본과 기회가 있다면 과연 나는 흔들리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이 세상은 괴물을 필요로 해요.” 내가 대답했다. “상처 입히고 경멸할 대상이 필요하니까요.”
생각해보니,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도 인간이 창조한 생명체를 소재로 경고와 메시지를 전하는 문학입니다. 애초에 성인의 몸을 지닌 존재와 달리 현대 의학은 DNA 복제와 유전자 가위 기술로 시작부터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나는 끔찍한 괴물이야. 사람이라고 할 수도 없어. (...) 나는 똑똑하게 만들어진 거야. 운동도 잘하도록 만들어진 거고.”
번식의 본질은 DNA복제입니다. 그렇게만 따지면, 고전적인 방식을 따른 것과 현대의학기술을 사용한 것이 뭐가 다른지 경계가 불문명해질 수도 있습니다. 공장에서 찍어내는 상품과 생명은 뭐가 다른지, 이미 철저한 계획 하에 체지방량도 조절되어 수태부터 출생, 성장, 도살까지 기계화된 체계로 관리되는 축산 동물은 그럼 더 이상 생명이 아닌 것인지, 질문은 복잡해지고 고민은 깊어집니다.
“설령 모든 게 이미 정해져 있고 각자 정해진 방향으로 살아갈 가능성이 크다고 해도, 우린 다른 사람이 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거야. 인간이라는 게 바로 그런 존재인지도 몰라.”
다시 ‘사람은 무엇인가’ ‘사람다움은 무엇인가’ ‘무엇이 우리는 사람답게 만드는가’라는 오래되고 익숙한 질문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한 번도 쉬웠던 적이 없는 질문입니다. 답이 있다고 해도 그 답에 맞게 세상을 바꾸고 살아가는 일은 또 다른 문제입니다.
“그게 우리는 사람답게 만드는 거야. 넌 한 방향으로만 생각하도록 길러졌기 때문에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게 된 거야.”
연구비만 벌어서, 자신이 하는 최전선의 과학 연구를 계속해서 ‘완벽한 아기’를 만들어 내고 싶다는, ‘박사’는 눈멀고 고민 없는 과학자의 전형처럼 보입니다. 더구나 그는 자신의 일이 ‘인도주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의미로 인간다움이 제거된 그가 복제인간을 만들 수 있도록 욕망과 수요가 있다는 것은 개인을 처벌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인류 문명과 사회 시스템을 들여다봐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에게는 자유의지가 있나요? 자아라는 건, 고유성이라는 건, 경험과 기억일 뿐인가요? 정상과 표준의 스펙트럼 안에 들어와야 한다고 끊임없이 사회화하고, 기준에 맞지 않으면 배제, 차별, 혐오하는 사회는 그럼 왜 이러는 걸까요.
이 작품은 의료윤리만을 묻는 것은 아닙니다. 인간이 존재하고 살아가는 동안 고유한 정체성을 만들어나가는 의미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가장 활발하게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청소년들에게 문학이 풀어내는 메시지는 어떻게 닿을 지가 무척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