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 케어 보험
이희영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궁금했던 BUBreak up의 약자다. 깨어지고 금이 가고 부서지는 이유는 짐작보다 다양할 것이다. 이 작품의 케어 보험이 케어 가능한 폭과 깊이가 기대되고 궁금했다.

......................................


 

 

, 도덕과 법적 문제가 있는 이별은 상담에서 제외됨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차례를 보고 웃으며 시작합니다. 보험 약관 펼치는 기분이 듭니다. ‘보험은 확실한 것이라고는 없는 삶을 살면서 불안을 다독이는 거래여서 기분이 눅눅해집니다. 산후조리원과 산모들로 시작되는 풍경에 내용도 모르면서 울컥합니다.

 

상처 하나 없이 보호해주고 미래의 장애물과 위험도 다 치워주고 싶지만, 그렇게 할 수 없는 것이 문득 서러운 것이 양육이기도 합니다. 기운이 쭉 빠졌다가도 오래 살아서 아이들 사는 모습을 지켜봐주고 싶어지지요.

 

그래서 네 명의 산모는 갓 태어난 자신들의 아이의 미래를 상상하며 보험에 끌리지 않을 수 없었다고 봅니다. 영업하기엔 산후조리원이 최고가 아닌가 싶게 감정 이입이 됩니다.

 

살면서 이별 한번 안 해본 사람이 어디 있겠니? 마음은 지옥인데 힘들다는 말도 못 하고. 그럴 때는 차라리 가까운 지인보다 모르는 남에게 털어놓는 게 훨씬 속 편할 때가 있어. (...) 몸 아프면 치료받듯, 마음 아파도 도움 청할 때가 있어야 하지 않겠어?”

 

다행히 자녀들이 모두 무사히 자라 사랑도 이별도 경험합니다. 이별의 사유가 다채로워서 보험의 커버력이 더 마음에 듭니다. 바람과 배신은 물론, 짝사랑과 스토킹과 사고와 동성연애도 포함됩니다. 맞춤 서비스가 제공되니 좋네요.

 

타인은 - 가까운 가족이어도 - 이해가 쉬웠던 적이 없습니다. 불성실하면 자칫 내 논리로 해석해서 도움이 안 되거나 더 상처를 주기도 합니다. 이별이란 큰 충격을 겪은 이에게는 세심한 태도가 필요합니다. 힘들 때 정신과 상담 신청을 하는 것처럼, 전문가가 할 수 있는 담백한 영역을 작품이 상상과 이해가 쉽도록 잘 보여줍니다.

 

제목부터 대반전이었던 <페인트>와 올 해 읽은 <여름의 귤을 좋아하세요>와는 분위기가 좀 다릅니다. 그리고 이별 보험이라고 해서 축축하고 어둡지 않습니다. 신랄하고 통쾌하게 마무리되는 사연도 있고, 재밌으라고 배치해 두신 작은 규칙과 감각적인 언어유희들 덕분에 즐겁습니다.

 

모든 이별은 아프지만, 그로 인해 사람은 그리고 사랑은 조금씩 성장한다. 이별이란 혹여 다음 사랑을 위한 예방접종이 아닐까? (...) 비록 그렇다 한들 모두가 사랑에 면역력이 생기는 건 아니다.”

 

저는 이 비밀(?) 혹은 교훈을 배운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이별도 그렇지만, 다양한 힘든 순간들도 그러하다는 것을. 고진감래가 아니라, 다음번의 쓴 맛과 힘듦을 좀 더 잘 겪고 견딜 힘을 보태준다는 것을.

 

마지막으로, 놀라운 활약을 보여준 나대리와 안사원! 보험회사 직원들이 좋아진 건 처음입니다.

 

안타깝게도 세상에는 내 마음을 오롯이 보여줄 수 있는 상대가 그리 많지 않다. (...) 때론 상대가 나를 모르기에 비로소 속마음을 털어놓을 수도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