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남은 시간 -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시대, 인류세를 사는 사람들
최평순 지음 / 해나무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꼭 소개하고 싶은 사실만 고르고 골라도 글로 전하기는 불가능한 일이다. 꼭 다 같이 읽자고 부탁과 호소를 반복하고 싶은 책이다. 얇지 않은 책을 읽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면, 다큐멘터리 PD인 이 책의 저자가 만든 EBS 환경 다큐멘터리 <인류세> <여섯 번째 대멸종> 등을 봐주시면 좋겠다.



 

환경에 관한 인지와 공부와 실천이 시대정신이라는 말을 나는 90년대 대학에서 들었다. 환경과학과는 다른 생태주의를 처음 배운 것도 그 무렵이다. 쓰레기 치우는 문제가 아니라, 경제와 정치 영역에서 해결해야할 복잡한 사안이고, 국경선이 의미 없는 전 세계가 함께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어도 학계에서는 공유했다.



 

그래도 내가 기후위기의 시절을 살 줄은 몰랐다. 늘 미래의 일이었다. 그런데 끓는 물속에서 천천히 죽어가는 개구리 꼴로 사는 건 나를 포함한 인류였다. 그 물은 끓기 시작했고, 지구는 불타고 있는데, 여전히 의미 있는 움직임이 부족하다. 변화가 없다면 결말도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지구시계는 1.5도 상승까지 6년도 안 남았다고 하고, 6년 안에 상승을 막아도 남은 문제는 많다. 급기야 11월에는 2도 상승도 기록되었다. 그렇다면,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까. 노력은 의미가 있을까. 그런 갈등은 이 순간에도 있다.

 


 

첫째, 아직 모르는 것이 많으니 더 정확히 배우고 조금이라도 더 소개한다. 인간의 인지편향, 확증편향, 이익계산법, 막무가내 등, 그게 무엇이건 가능성이 있는 한 다 포기하거나 절망하지 않는다. 책임이 큰 사람이 그에 맞는 책임을 지는 것이 당연하지만, 한국사회에서 한국인으로 살기란 기후악당에 가깝다.

 

나는 알면 사랑한다라는 말을 이마에 붙이고 산다. 우선 알아야 사랑을 표현하고 행동할 수 있다. 음식물을 배달하는 오토바이 엔진 소리가 누군가 일회용 포장재를 사용했다는 알람 소리로 들릴 때까지 쉼 없이 알려야 한다. 그게 바로 저널리즘이 해야 할 일이다. 인류세인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읽고 함께 토론하며 길을 찾아야 한다.” 최재천

 

둘째, 착한 소비자나 시민으로 할 수 있는 일 외에, 나보다 깜냥이 큰 이들이 변화를 이끌기 위해 시도하는 활동 - 기업에 요구하는 일, 정치적 행동, 언론 등 - 을 응원하고 후원하고 서명한다.

 

프랑스 언론은 기후 변화대신 기후 고장혹은 기후 비상이라는 표현을 써요. 대표적인 신문사 르몽드는 지구 위기를 다루는 전담팀을 환경팀이라고 부르지 않고 플래닛팀이라고 명명했죠. 기후뿐 아니라 생태 위기 등 지구의 전방위적문제를 다루겠다는 의지가 보입니다.”

 

여러 가지 심각한 재난들과 범죄에 가까운 결정들이 일상처럼 받아들여지는 매순간이 두렵다. 뻔하고 다 아는 실천방법이 마침내 실천되기를 바란다. 우리가 가진 수단을 모두 적용해보는 노력조차 없다면 인류 문명은 대체 무슨 소용이었단 말인가.

 

“141년에 한 번 꼴로 발행했던 역대 최악의 가뭄이 가까운 미래에는 매년 발생하게 될 거예요. ‘재난의 일상화라고 할 수 있죠.” - 김형준 교수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 이 책은 친환경 재생종이와 콩기름 잉크로 제작되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