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책으로 성장하는가 - 63권 서평으로 쓴 CEO 에세이
전익수 지음 / 지식과감성#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책을 읽는가가 누군가의 전부를 알려 주진 않지만, 나는 늘 다른 사람들이 무슨 책을 읽는지가 궁금하고 알게 되는 기회가 즐겁다. 나와 접점이 적을수록 더 궁금하다.

 

전공과 직업이 아닌 책 읽기를 시작한지가 몇 해 되지 않아서일지도. 책 읽는 것이 직업이 아니게 되자 책 읽기가 즐겁다. 생각지도 못한 책들은 생각지도 못한 세계 같아서 흥미롭다.

 

저자는 연배도 전공도 직업도 많이 다른 편이라서, 이 책에 골라 담은 63권이 무척 궁금했다. 다양한 탐독을 하시는 분이라 안타깝게도(?) 내가 아는 저자와 책들이 겹치기도 했다.

 

요즘에는 병원에서 태어나고 병원에서 죽지. 살고 죽는 게 병인가? 탄생이 병이고 죽음이 병이냐고? 생사의 문제가 낯선 사람들의 공간에서 다뤄지니 안타까워. 나는 내가 살던 친숙한 공간에서 눈을 감았으면 해. 최고의 사치지. 가난한 사람도 당연했던 일이 이젠 꿈이 되어버린 거야.”

 

덕분에 근래에 돌아가셔서 그리운 분도 만나고, 매년 되풀이되는 올 해에도 읽지 못한 책탑이 올 해도 높아가는 처지라서, 책장에 모셔둔 책을 몇 년 만에 꺼내 읽는 장면도 좋았다. 읽고 기록하지 못한 책은 더 많…….

 

개인의 삶에서도 어떻게 할지 결정하지 못하고 계속 가지고 있는 생각, 태도, 물건, 인간관계 등은 결국 복잡함으로 나타난다. 복잡해지는 이유는 버리는 선택을 못하기 때문이다.”

 

버린다는 단어를 선호하진 않지만, 일단 책은 장식품도 사치품도 아니라고 생각해서, 다시 읽게 되지 않을 책을 보관하지 않으려 한다. 저항감은 작지 않다. 그래도 9월부터 240권 정도를 기증했다. 12월에 좀 더 책정리를 하려고 하는데 생각대로 될까.

 

시민 개인이 철학을 갖추어야 한다. 현재의 정치 수준은 우리 국민이 그동안 가져온 문화와 철학 수준의 결과물이라는 뜻이다.”

 

그렇기도 하고 개인에게 맡겨서 될 일도 아니다. 내가 느끼는 피로감과는 비교할 수 없는 강도의 노동을 매일 하는 이들은 문화와 철학을 갖출 시간도 체력도 없을 것이다. 할 수 있는 사람은 개인적 노력을 더하는 것이 물론 좋지만, 나는 공교육의 영역이 출발이자 기본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교육 현실을 생각하면 미래가 가장 절망스럽기도 하다.

 

그래도 할 수 있는 사람은 하자. 내 세상엔 다들 책만 읽고 사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 괴리에 어리둥절할 때도 많지만, 더 많은 분들이 책도 읽고 살 수 있는 일상의 조건을 꼭 마련하고 확대해야 한다. 느린 것 같지만 더 확실하고 빠른 방법은 없다. 교육의 내용이 가장 확실한 미래다.

 

이 시대는 핏방울도 땀방울도 아니고 눈물 한 방울이 필요하다네, 지금껏 살아보니 핏방울과 땀방울은 너무 흔해. (...) 인간을 이해한다는 건 인간이 흘리는 눈물을 이해한다는 거라네.”


 

방대한 분야의 다양한 책들에 대한 좋은 에세이가 많은데, 내가 머물고 싶은 책들에 머물다 보니 글이 길어졌다. 이 책의 장점은 어느 책을 골라 먼저 읽더라도 순서 때문에 문제가 되는 일이 없다는 점일 것이다. 천천히 자신의 관심사대로 옮겨가며 읽는 것도 이 책을 즐기는 좋은 방식이다.

 

스스로 쓸 말이 없어서 남의 얘기나 옮겨봐. 그건 서생이지. 글자 쓰는 사람. 글 쓰는 사람이 아니야. 사람은 글씨 쓰는 사람과 글 쓰는 사람을 혼동하는데, 글씨 쓰는 사람은 서경이네. 베끼는 사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