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와 함께라면
김유리.김영아 지음 / 지식과감성# / 2023년 8월
평점 :
경험하지 못한 것을 공감할 수는 없어도 사유할 수는 있다, 란 문장을 금래 자주 떠올린다. 좁고 얕은 삶이지만 살아본 경험에 미루어 곱씹어 보기도 한다. 맞는 말이란 생각이 더 확고해진다.
그래서 우리는 간접 경험의 폭이라도 넓히며 살아야한다는 깨달음도 함께 왔다. 노력하지 않으면 점점 더 타인을 모르고 되고 말테니까. 오프라인으로 뭘 하는 게 너무 어려워진 내게는 요즘 유일한 통로가 문학 같다.
장애에 대해서는 단어만 알고 전혀 실상을 모르고 살다가 10여 년 전부터 운 좋게 일이 먼저 연결되고, 친구가 생기며, 아주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알던 세상을 다르고 보고 느끼고 경험하는 기회가 생겼다.
한 번도 불편하지 않았던 유럽 국가들이 전동/수동 휠체어를 탄 이들과 동행하면 어떤 장소가 되는지 절감했다. 참담하게도 2023년 한국의 공공 서비스와 혐오에 비하면 당시 유럽의 서비스 체계나 사람들의 인식이 (부족해도)나았다.
이 책은 장애 유형 중에서도 잘 모르는 발달장애를 가진 저자와 재활상담사의 공저(라고 할 수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고만 해도 욕먹고 거부당하는 현실에서 영화 동아리에서 만났다는 사연이 눈부셨다. 14년의 우정이 부러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2/pimg_739190168404636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2/pimg_7391901684046361.jpg)
글을 쓰고 싶은 사람과, 각자의 글에 대한 생각이 조금씩 다른 함께 하기와, 결국엔 ‘우리 책’이라는 멋진 결론과 출간하는 용기 모두가 이 책을 충분하게 만들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2/pimg_739190168404636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2/pimg_7391901684046364.jpg)
두 사람이 북토크도 하셨다는데 뒤늦게야 소식을 들었다. 어쩌면 이 책의 문장들과 분위기처럼 그렇게 즐겁고 유쾌한 대화처럼 이어가셨을 지도 모른단 상상을 해본다.
22년 기준으로 ‘등록된’ 장애인 수는 265만 2,860명이다. 23년 기준 총 인구수는 5,155만 8,034명이다. 대략 19.435명 중 한 명이 장애를 가졌다. 그런데 우리는 19명 중 한 명 분포로 장애인과 함께 살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이들은 다 어디 있는 걸까.
누구나 살다가 중도 장애가 생길 수 있고, 누구나 병에 걸릴 수 있고, 누구나 늙고, 누구나 약해진다. 사회 시스템과 안전 기준이 약한 이들에게 맞춰질수로고 그 혜택은 더 많은 이들에게 돌아간다. 왜 안 될 일인지, 뭐가 그리 어려운 것인지, 함께 고민해보는 숙려熟慮하는 사회를 늘 바라고 응원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012/pimg_73919016840463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