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으로 가는 길
로즈 트러메인 지음, 공진호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은 뼈와 같다. 생존하기 위해 뼈가 필요한 생물들이 몸속에 뼈를 만들거나(내골격), 몸밖에 만들거나(외골격), 단단한 껍데기를 만들거나 한다고. 인간은 내골격을 만들고 옷을 입고 껍데기를 만들어 그 안에서 산다.

 

그러니 집은 생존의 필수품이고 권리가 되어야한다. 그렇지 못하면 생존도 그 이상의 무엇을 하려고 해도 문제가 생긴다. 살기 위해 필요한 집인데, 집을 마련하기 위해 삶을 소진하게 된다. 그렇게 살아도 집을 못 구하고 죽기도 한다.

 

여권검사도 국경선도 없이 여러 국가를 다니는 유럽의 상황에서는 디아스포라의 삶과 국적이 밀접하다. 한국사회에서는 국적이 같아도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 수 밖에 없는 이들이 아주 많다. 아프고 슬프고 분노가 가득한 사회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 느껴지는 그리움과 슬픔처럼 분노 대신 고요하게 선한 인물을 만나게 한다. 고향과 집과 가족에게 돌아가기 위해, 돈을 벌어 가기 위해, 고향과 가족으로부터 멀어져야 하는, 희망보다 빠른 상실을 겪는.

 

그 세상은, 일자리를 찾을 수만 있다면 그가 등골이 휘도록 일할 곳이었다.”



 

조금만 덜 힘들어도, 기회만 있으면 몸이 부서져라 일할 그런 성실한 사람들이 그 작은 바람을 찾기가 이렇게 힘든 세상이 결정적으로 잘못되었다는 확신이 드는 풍경들만 지나간다.

 

오늘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사람들, 일터에서 사망한 이들은 한국사회에서 매해 기록될 뿐 예방되지 않는다. 매일 누군가가 일하다 죽는다. 경영 악화는 노동자 탓이 아니라 경영자 탓이지만, 악화의 피해는 해고로 닥친다.

 

법이 있어도 불법을 태연히 저지르며 해고를 남발하고, 재판을 통해 복직명령이 떨어진 이들을 일시 고용했다 다시 해고한다. 눈이 아픈 폭염에 아스팔트 바닥에 꿇어앉아 우리가 뭘 잘못했냐고 하는 질문에 토할 듯 어지럽다.

 

삶이란 일시적인 행복감과 우연히 만난 선인의 호의로 채워지고 빛나면 충분히 좋은 것일까. 배가 고픈 이에게 상큼한 음료를 주어도 좋은 것일까. 마을 전체가 수몰되는데, 의미 있는 장소가 모두 사라지는데, 이번에는 그래도 이주할 충분한 돈이 있으면 괜찮은 것일까.

 

글이 어두운 것은 결말을 스포일링하지 않기 위해서라고 변명해본다. 선한 사람들은 여전히 많고, 우리는 서로를 도울 수 있고, 꿈은 아직 포기할 때가 아니고, 태어난 조건이 무엇이건 응원하고 싶은 사람의 희망이 이루어지는. 누구나의 현실이기를 바라는. 요즘은 이야기로도 불행을 감당할 힘이 별로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