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가 숲 차 - 나의 몸을 존중하고 계절의 감각을 찾고 산뜻하게 회복한다
신미경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5월
평점 :
‘정체停滯*’, ‘정체된 삶’이란 표현을 들어 넘겼는데, 가만 생각해보면 어떤 삶인지 잘 모르겠기도 했다. 혼잡하고 바쁜데 지루하고 지겨운 일상만 반복되는 삶일까. 돌발이 싫은 나는 바뀌는 풍경을 보며 사는 안 정체된 삶을 원하는가.
* 사물이 발전하거나 나아가지 못하고 한자리에 머물러 그침
요가 자세 중 아주 좋아하는 몇 가지를 요긴하게 써먹는다. 오늘도 내일도 숲에 가게 될 것 같진 않다. 그러니 가장 좋아하는 차를 내려 마시며 책을 볼 것이다. 호흡 속에 요가 동작도 숲의 향도 담기는 듯 깊고 천천히 쉬면서.
“바라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달라질 수 있다는 점. (...) 잠깐 멈춰서 깊은 호흡을 하면 마법 같은 쉼이 찾아오고, 언제든 무엇이든 다시 시작할 수 있기에.”
내가 배운 것과는 좀 다른 계절의 감각을 찾는 삼 단계 요가가 흥미로웠다. ‘기분 좋은 어른’이란 구절을 보니 또 급 반성이 된다. ‘기분 좋지 않은 어른’ 역할에 너무 익숙해져서 이젠 내 고유 마스크 같다. 기분 좋을 일이 별로 없...
“좋은 컨디션이란 보이지 않는 공기, 온도, 습도, 냄새, 소음을 관리할 때 찾아옴을 알았다. 식물로 세심하게 환경을 정비한 후로 집은 숲에 온 기분에 가까워진다.”
요즘엔 매일 베란다 텃밭에서 딜과 바질을 똑똑 따서 입에 넣는다. 달콤하고 향긋해서 중독이 될 것 같다. 식물로 환경 정비까지는 무리인, 식물에 대해 아는 바도 없는 인간이지만, 식물이 전혀 없는 공간에서 살 자신은 전혀 없다.
잘 먹고 잘 누고 잘 자는 것의 중요성, 쾌적함이 정신의 영역이 아닌, 참을성의 문제가 아닌, 과학의 영역이라는 문장들에 기분이 좀 좋아진다. 그러니 기분이 나빠지는 많은 이유에는 몰상식과 괴랄한 주장이나 헛소리 따위가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10/pimg_7391901683889013.jpg)
정신적 가치를 강조하거나 재평가하지 않고, 아주 일상적이고 구체적으로 짚어주는 내용들에 마음이 동한다. 특히 예민한 감각을 가진 사람들이 겪는 고통 같은 것도 그렇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10/pimg_7391901683889014.jpg)
이를 테면 ‘아주 작은 거슬림’이 얼마나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지, 불행하게 만드는지, 병들게 만드는지. 더구나 반복되는 거슬림이라면.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10/pimg_7391901683889016.jpg)
“무력함을 가득 느낀 날, 나는 집의 안온한 보호 속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편안함을 즐긴다. 뜻밖의 좋은 일로 가득한 날도, 또 이토록 헝클어진 하루도 있다.”
이제 오늘은 책도 그만 읽자. 놀며 쉬며 살다 자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10/pimg_739190168388901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