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퍼핏 쇼 ㅣ 워싱턴 포
M. W. 크레이븐 지음, 김해온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4월
평점 :
첫 일독을 마쳤을 때는 읽고 있는 친구들에게 스포일링을 하지 않기 위해 시리즈 다음 권을 빨리 달라는 얘기 정도만 기록했다. 시리즈의 첫 책을 읽은 기대와 괴로움이랄까, 더구나 재미있는 작품일 경우에는 조급증이 인다. (다음 권도 번역하고 계신 거지요...?)

사적복수에 대해서는 생각이 복잡하다. 현실 사법 시스템의 허술함이 뼈아프고, 억울한 이들이 어떻게 매일을 견디며 포기하지 않는지 아프다. 아무리 간절해도 현실의 일은 절차와 시간을 모조리 요구한다.
그래서 여러 매체들에서 사적복수, 대행복수를 소재 삼아 잠시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하는 작품들이 많다. 사필귀정, 인과응보가 이루어지는 작품만 본다는 지인도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도 안타까움과 분함에 사적복수의 대리욕망이 내게도 어른거렸다.
도대체 어른들은 왜 이러는 것일까. 네 명의 아이들의 슬픔이 거대한 돌의 무게에 짓눌려 목소리마저 잃었다. 잊혀졌다. 그리고 전시하듯 죽음이 펼쳐진다. 누군가 이토록 강렬하게 할 말이 많다는 의미이다.
워싱턴 포는 아슬아슬하게 경계에서 살아가는 인물이다. 아니 이미 넘었다. 그 징계가 계기가 되어 환상열석이 자리한 고향으로 내려온다. 시체 가슴 위에 자신의 이름이 올려진 것을 보는 기분은 어떨까.
작품의 재미는 틸리 브래드쇼가 워싱턴 포를 만나면서 스토리 전개가 불꽃처럼 반짝거리며 달려갈 때 절정을 이룬다. 이 콤비의 캐릭터와 대비가 아주 매력적이다. 나는 콤비 구성인 추리 수사물이 가장 재미있다. 이 둘의 변해가는 관계가 궁금해서 다음 작품이 더 고대된다.
“넌 내가 만난 형사들 중 최고야. 직관적이고 집요하지. 필요한 일을 하는 걸 두려워하지 않고, 누굴 화나게 하든 상관하지 않는 데다 처음 드러난 설명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아.”
범죄에도 부익부 빈익빈이 있다. 생계형 범죄도 쾌락 범죄도 있다. 유희로서의 범죄에 끌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더 이상 생계 걱정이 없어 지독하게 무료해진 부자들의 놀이일까. 권력은 타인의 생명을 좌우하는 것으로 가장 자극적으로 탐닉되는 것일까.

한편 살인 행위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아진다. 현실에서도 여전히 사형제도가 남아 있고, 전쟁 중 살인행위가 자행되고, 일상에서도 여러 이유로 살인이 발생한다. 남을 죽은 자를 죽이는 일은 정당한 것일까. 내가 피해 당사자나 가족, 친구, 지인이라면 어떤 기분으로 결론을 내릴까. 느리고 감형이라는 약점이 존재하는 법을 신뢰하고 추구할 것인가, 복수를 하고 싶을까.
“악이 승리하는 데 필요한 것은 좋은 사람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뿐이다.”
복수는 진실이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저자는 정치논리가 마지막까지 버티고 선 현실적인 결말을 보여준 것일까. 동화나 만화식 인과응보나 권선징악이 아니라서, 작품의 묵직함이 더하다. 더 섬세하고 파고들어 현실마저 해부해 줬으면 좋겠다. 다음 권 소식을 애타게 기다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