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요한 우연 - 제13회 문학동네청소년문학상 대상 수상작 ㅣ 문학동네 청소년 63
김수빈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2월
평점 :
‘좋다’는 것은 때론 갈피를 잡지 못할 표현이다. 사람에 쓰이는 경우에 나는 자주 반발감이 들었다. ‘사람 좋다’는 건 좋은 사람과는 또 다른 느낌. 좋다가 ‘착하다’란 의미로 쓰이면 기분은 더 복잡해졌다. 그러면서도 나이가 들어갈수록 다른 무엇도 아닌 좋은 사람이고도 싶었다.
“나 같은 보통의 아이들은 어떤 미래를 꿈꿔야 하는 걸까. 그냥 이대로 조용히 보통의 어른이 되는 걸까.”
그래서 수현의 이야기가 익숙하고 불안했다. 어릴 때부터 좋은 사람이 되고 싶었다는 건 아무에게도 권하고 싶지 않으니까. 걱정은 하지 않는다. 좋은 친구가 있으니까. 지아가 수현을 동경한다는 마음이 든든하다.
고요한 우연이란 제목에는 두 명의 이름이 담겨있다. 작가의 청소년 묘사와 캐릭터 설정이 독특하다. 혹은 내가 십 대에게 가진 또 다른 선입견인지도 모를 일이지만. 일단 이름이 고요와 우연이라는 것이 기분마저 차분하게 한다.
“이우연은 한참이나 현관 아래에 서 있었다. (...) 잠시 후 현관으로 내려온 고요가 우산을 쓰고 빗속을 걸어갔다. (...) 그저 우연이었을까.”
판타지 문학이 아닌데 둘 다 지구보다 달에 더 어울리는 인물 같은 것도 신기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의 시점이 고요와 우연을 ‘바라보는’ 지구 아이 수현에게 있는 것이 독특하지만 자연스럽다.
“사람들은 달을 올려다본다고만 생각하지, 달이 지구를 보고 있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못하는 것 같아. 단 한순간도 놓치지 않고 지구를 바라보고 있는 것은 달인데 말이야.”
모든 게 비교당하는 집단생활이니 시기와 질투일까 했던 짐작을 넘어서는 학교폭력은 이야기에서 나를 끄집어내 현실로 돌려세운다. 소설이라도 심란한데 현실을 생각하면 호흡하는 공기가 무섭도록 무거워진다.
친절하게 배려 깊게 이야기를 못 한 적은 많겠지만, 학창시절 누군가를 가해한 적은 없다고 기억하는데, 만약 누가 그런 위험에 처한 것을 보았다면 그 시절의 나는 어떻게 행동했을까. 우리 대부분이 그렇듯 방관자였을까.
처음의 친밀감처럼 나의 최선은 수현을 닮은 모습이기를 바란다. 묵묵히 할 수 있는 것들을 하고 응원하는 마음을 잊지 않기를. 이수현다운 ‘좋은 사람’이란 말이 편하고 좋다. 곁에 있어주는 사람, 친구란 신비롭고 아름다운 존재다.
“우리를 연결시켜 주는 것은 대부분 우연이지만, 그 우연을 만들어 내는 것은 어쩌면 평범한 사람의 자그마한 힘인지도 모르겠습니다.” - 담당 편집자님 편지 일부
강제야간자율학습, 이 모순적인 단어에 괴로워하는 고2가 고요하게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시간을 상상하며 선물로 주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