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킬의 영화비평
홍은화 지음 / 지식과감성#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대로 인지를 못하고 있다가 문득 변화를 뒤늦게 알아차렸다. 서점 방문보다 온라인서점에서 책을 사는 횟수가 오래 전에 많아졌다고. 유학 중에 어쩔 수 없다는 핑계가 확실한 예외였는데, 예외가 일상이 된 셈이다.

 

또 하나, 나는 영화관에 가서 보는 것을 본래적인 영화감상이라고 여긴다는 점이다. OTT는 여전히 예외적인 상황이거나 의미나 가치가 덜한 작품을 구경하는 용도랄까. 물론 현실에서 도저히 다른 방법으로 만날 수 없는 영화를 찾으면 기쁘고 감사하다.

 

매일 점점 더 짧아지는 생과 매번 아쉬운 주말에 영화를 보러 나가는 일은 다소 낭비적일 만큼 호사스럽게 시간을 향유하는 행위다. 그래서 관련된 모든 시간 - 준비, 이동, 감상, 귀가 -을 최대한 즐기려 노력한다.

 

어제 반드시 봐야할 영화를 보았고, 오늘은 책을 읽다가 보고 싶은 영화를 찾아보았다. <플로르의 연인Les amants du Flore>인데 음... 바로 감상이 어려워 헤매다 영화비평 책으로 옮겨왔다. 10부터 좋아한 천재작가 메리셸리의 캐릭터 이름이니 반갑기도 했다.

 

영화 비평이 필요한가

 

영화 리뷰와 비평의 차이를 배우며, 책이든 영화든 비평을 대체로 거부하거나 외면해 온 것을 기억해낸다. 감상자의 의견인 리뷰는 무해하나, 수강신청하지 않은 강의 같은 비평은 불편했다. 특히 구매 옵션 없이 작품과 묶여 한 책에 실린 비평, 누가 시작한 걸까.


 

스토리와 내러티브에 관심이 많은 영상 감상은 이율배반적이기도 하지만, 스토리와 내러티브가 엉망인 좋은 영화는 있을 수 없다. 이 책의 내용 중 고전적 내러티브와 관련된 설명이 영화학에 지식이 없음에도 재미있었다.


 

장르 구분이 있어도 무방하나 위계적 시선은 불편하다. 그런 시선을 가진 사람 중에도 자기모순적인 이도 없지 않다. 순문학에 대해 자신이 한 찬사를 모두 잊은 것인지, 스티븐 킹이 팬이라고 하는 건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할지. 인간적이긴 했다.

 

어쨌든 이 책에서 나라면 공포/호러 장르에 분류할 생각을 못한 감독들이 보여서 놀랍고 흥미로웠다. 리들리 스콧의 <블레이드 러너>... 하긴, 그 영화를 보고 어찌나 단단하게 사로잡혔던지 한참을 괴로웠다. 지금도 질문은 사라지지 않았다.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논문 주제로까지 잡았던 시간’, 저자는 영화적 시간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시간에 대한 사유는 물리학의 영역을 피해갈 수는 없다. 21세기에 천착했던 크리스토퍼 놀란과 드니 빌뇌브 감독의 작품들이 불러오는 기억 속 장면들에 정신이 잠시 우주로 날아갈 듯하다.

 

문학서사의 종적 시간을 흐트러뜨리고 중력의 시간성을 벗어나 기억, , 우주의 영역을 영화적 시간과 유비시켰다.”


 

조금 후회가 된다. 주말 저녁에 현실의 시간을 살지 말고, 시간의 순서를 흐트러뜨리는 영화 속 세계에 머물 것을. 심지어 영화는 아무도 이해 못한다는 양자역학의 세계를 체험하게도 해주지 않는가. 그만 쓰고 영화를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