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 뇌과학과 신경과학이 밝혀낸 생후배선의 비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까지 읽은 뇌과학 책들 중 가장 희망적인 지식을 배웠다. ‘미완성이 확실한 위로가 된다. 생후배선livewired이란 단어가 처음엔 아주 생소했으니 읽고 나면 생후에야 비로소 배치되고 설치되는 배선에 안도를 느끼게 된다.

 

만들어진 뇌 자체nature가 구성하는 것도 분명 있지만, 원제의 ever-changing이란 표현처럼 양육과 경험과 사회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nurture. 포기하지 말아야할 이유이다.

 

과학대중서를 꾸준히 읽고 있지만, 근래에 질문에 대한 답은 뇌과학에서 가장 많이 얻는다. 이 책에서는 뇌과학이 지금까지 쌓아온 성과들을 볼 수 있고, 셀제로 어떤 변화를 가능하게 아는지 배울 수 있다.

 

무게 1.4킬로그램의 뇌는 소리를 직접 듣거나 눈앞의 광경을 직접 보지 않는다. 뇌는 어둡고 조용한 지하 묘지 같은 두개골 안에 갇혀 있다. 뇌가 보는 것은 다양한 데이터케이블을 통해 계속 들어오는 전기화학 신호뿐이다. 뇌가 처리해야 하는 정보도 그것뿐이다.”

 

저자가 하나의 주제에 집중하고 있어서 독자 역시 혼란이 없다. 과학을 전공하지 않은 독자를 배려하는 용어들 역시 가독성을 높인다. 전문용어들이 꼭 필요한 경우도 있겠지만 너무 많으면 지치는 것도 사실.

 

뇌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고, 뇌를 다치거나 뇌에 문제가 생기는 일은 가장 무서운 악몽이기도 하다. 그런데 뜻밖에 뇌회복력 사례를 읽고 정말 기뻤다. 내 상황은 아니지만 걱정과 불안이 조금 가라앉는다.

 

특히 선천적으로 뇌가 반쪽인 아이가 부모도 인지 못할 정도로 평범하게 생활한 이야기는 우리가 분류하는 장애와 건강에 대해 곱씹어보게 해준다.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는 것을 다시금 절감한다.

 

우리는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으로 성장하고, 교류하고 소통하는 모두와 서로 성장하고 성장시킨 사회적 총체이다. 이 책의 원제는 곧 주제이다. 또한 한 가지 감각기관 상실이 다른 기관의 발달로 이어지는 구조도 이해가 되었다.

 

우리가 알고 이해하는 것이 아주 적다는 것을 잊지 말고, 그 미미한 지식을 배경으로 성급하고 단호하게 정상과 비정상을 언급하는 것은 이제 그만 두었으면 좋겠다. 맞지도 않고 옳지도 않고 과학적이지도 않고 단지 폭력적이다.

 

우리의 사람됨은 우리와 상호작용을 주고받는 모든 것, 즉 주변 환경, 경험, 친구, , 문화, 신념, 시대 등으로부터 나온다. (...) 사실 우리를 에워싼 모든 것과 우리 자신을 분리할 길은 없다. 외부세계가 없으면 ''도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의 신념, 신조, 포부는 모두 속속들이 그렇게 형성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