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이영현 지음 / 지식과감성#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리적 세계에도 정신세계에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심심한 날들이 소원이다. 시간이 넘쳐서 지루하고 실컷 자고 나니 할 일이 없고, 뭐 그런 상상. 그러니 제목에 끌렸다. 어떤 날이 그랬는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데 궁금했다.

 

그리고... 정신을 못 차리게 별별 일이 다 일어나는 세계에서 어리둥절하게 머물렀다. 어쨌든 주인공의 양가에 한정한 이야기인데 사람마다 이렇게 시난고난 극적인 일들이 이어지다니... 도약 없이 뛰어내린 높이처럼 아찔했다. 어지러워서 속이 울렁거렸다.

 

펼치자마자 어머니가 돌아가셨다고 갑시다! 하는데... 고독사 상태로 오래 지난 죽음의 현장이다. 심드렁한 태도와 주변 풍경 역시 낯설고도 팍팍하다. 죽음으로 시작된 이야기는 필히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다. 뉴스 보도로 접할 듯 엄청난 아버지를 만난다.

 

밤새 술을 마시다 새벽에 건축 공사장으로 나가는 아버지, 혼자 먹고 자고 학교에 다니는 아들, 장사를 다니다 낯선 남자를 데려오기도 하는 어머니, 아버지가 귀가와 어머니의 가출, 다시 반복되는 일상...

 

아버지가 배설 조절을 못하게 되자 기종(주인공)은 집을 떠난다. 흔히 기대하는 바와는 다르지만 생득적 부자관계라는 것 외에 쌓인 소중한 감정은 전혀 없는 것 같아서 그냥 이해가 되었다. 동거, 말 그래도 한 공간에 기거하는 것조차 불가능해진 관계라는 것.

 

어머니보다 살갑게 자신을 받아준 동거남, 형편이 어려워지자 어머니는 아들을 두고 떠났고, 기종은 생판 남인 그에게서 트랙터일을 배우고 개간지를 함께 다닌다. 기종의 직업은 그렇게 정해졌다. 극적인 경우가 아니라도 가족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타인은 분명히 있다.

 

기종은 그의 유언을 듣고 임종을 보고 상례를 치른다. 그리고 다시 아버지의 소식... 다행히도 사촌형이 아버지를 요양병원에 입원시킨다. 이 작품에서는 드문 캐릭터라 어색할 지경이다. 다들 살기위해 죽을 정도로 악다구니를 하고, 기존의 규범 정도는 가볍게 무시하니까.

 

상상 이상의 폭력 사건을 일으킨 그 아버지도 돌아가시고, 연락을 받은 기종이 처음으로 기분이 좋아해서 사연(?)을 알긴 하지만 희소식이라고 부르는 대목에서 잠시 감정이 복잡했다. 이렇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일상이 시작된 건 아니고...

 

나는 좀 지쳤는데 이야기는 아랑곳없이(?) 범상치 않은 외할머니로 넘어간다. 대체로 이 작품의 커플들은 한쪽이 갑자기 사망하거나 있어도 남보다 못하거나 안부를 모르고 따로 살거나... 지극하게 쓸쓸할 풍경이다. 사연이 얼마나 구구절절한지 읽는 것만으로 힘이 죽죽 빠진다.

 

그럼에도 주인공이 유일하게 혈육의 정을 느끼고 안기는 대상이라서 그 친밀감은 어떤 끌림일까... 궁금해하며 부디 서로 마주보고 웃는 시간이 길어지길 응원했다. 이 작품의 분위기상 그럴 가능성이 적어 보여 불안했다.

 

나도 대단한 효도를 해본 자식은 아니지만 제 어머니 머리채를 휘어잡고 끌고 나가 덫에 걸린 생쥐를 버리듯이 내팽개쳤다는 대목에서는 소스라치는 감각이 가슴을 흩고 지나갔다. 욕하려는 게 아니고... 그런 반응을 보이기까지의 무거운 사연이 눈물겹고 아프다.

 

이 이야기의 마지막이 자신의 어머니 봉분에 누워 잠든 고모를 업고 어둠 속 길을 내려오는 장면이라는 것이 이해가 간다. 비로소 안심이 된다. 그들은 그렇게 집으로 갔을 것이다. 함께 먹고 쉬고 잘 수 있는, 함께 살 수 있는 집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