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허물기』 읽기 세창명저산책 96
조현준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더에 대해 배우고 상기하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개인의 내부에도 외부에도 존재하는 젠더는 나의 정체성을 구성합니다. 그 정체성을 파악하는 방식과 내용에 따라 내 욕망이 다르게 인식됩니다.

 

따라서 욕망은 결정된 게 아닙니다. 우리는 언제부터 왜 인간의 섹슈얼리티를 규범으로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믿었을까요.

 

문화 번역은 차이에서 오는 도전을 배제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인식성의 척도와 잣대를 문제 삼는 이런 차이를 대면할 것인가의 문제를 직시한다. 그것은 나와 다르다는 것, 그 차이가 내 존재에 위기와 문제를 가져온다고 하더라도 그 차이를 받아들일 수 있는 윤리적 방식에 대한 고민이기도 하다.”

 

! 문화 번역

 

- 언어 변환 속에 일어나는 타자와의 대화적 관계의 가능성

- 상관적 지식으로서 유동 공간과 교차하는 다양한 경계 간의 교류

- 보편성에 내재한 특수성에 주목

- 구성적 외부가 될 잠재성

- 수행적 모순으로 작용

 

안티고네의 해석과 관련된 모든 문장에 놀랐습니다. 상당히 고집스러워서 단순해보이기도 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그리스 드라마라고 생각한 낮은 문해력 탓입니다.


 

죽음에 이르기까지 고집스럽게 주장한 것이 저지르지 않은 무의식의 죄를 고백하고 처벌받겠다는 욕망의 몸짓이라니... 한편 수긍이 가고 그래서 비극은 더 깊어지는 기분입니다.

 

내가 누구인지/무엇인지는 알겠다 싶기도 했는데, 몇 달 전부터 인간이라 무엇인가를 자주 생각합니다. 과학이 제공한 답은 편안하지만, 인간으로 사는 일에서 불거진 의문들을 이해하기엔 부족합니다. 마지막 장에서 제기하는 문제의식이 인간이라는 범주라서, 반갑기도 두렵기도 했습니다.

 

한 개인에게 인간됨을 부여한 바로 그 동일한 관점이 때로는 다른 인간에게서 똑같은 지위를 박탈하기도 한다. 인간과 덜된 인간less-than-human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은 사회의 인정이다. 그리고 그런 인정은 인간을 인간으로 규정하는 사회적 규범과 규약에서 온다.”

 

살 수 있는 삶과 살 수 없는 삶도 인정의 체계에서 온다.”

 

내 정체성을 구성하는 젠더는 나를 박탈할 수도 있으니, 나를 허물 수 있습니다. 이 특정 젠더는 완전한 나의 소유가 아닌 사회성 속에 구성되어 있습니다. 젠더를 왜 허물기하자는 것인지, 그 목적은 나를 이해할 가능성으로 살펴보려는 것으로 이해합니다(섹슈얼리티도 마찬가지. 180)

 

우리가 우리에게 의존하고 우리로 허물어지는 현실의 상호성’, 버틀러는 인간의 체온과 같은 온기 있는 결론에 이릅니다. 인간의 삶이란 의 유한성에 따르고 의 한계성에 구속됩니다. 본원적인 슬픔은 우리를 관계적 감성 속에 서로 기대고 의존하며 뜨겁게 사는방식을 사유하게 합니다.

 

버틀러는 최근 들어 모든 인간의 평등을 위한 토대로서 애도 가능성과 상호의존성에 한층 더 주목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