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허물기』 읽기 ㅣ 세창명저산책 96
조현준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2년 11월
평점 :
<단상 1부>
젠더를 허물기 위해서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먼저 배울 필요가 있다. 주디스 버틀러는 <젠더 트러블>에서 구조주의자로서, 당시의 시대상과 더불어, 이전의 사유들을 점검하며, ‘젠더’의 개념과 수행에 관해 설명한다.
버틀러는 섹스sex와 젠더gender를 이분법적을 생각할 이유가 이미 없으며 - 몸과 문화로 단절 - 따라서 구분도 불필요하다고 했다. 실제 삶에서 이 둘은 구분되지 않고, 남성성과 여성성은 오히려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섹스는 이미 젠더이다.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몸을 불변의 것으로 생각하도록 하는 것이 젠더의 기능이며, 성별은 문화적 의미가 이미 들어간 것이며, 따라서 남성과 여성의 몸을 식별하는 것 자체가 이미 젠더이다. 젠더는 권력 안에서 작동한다. #이성애규범성
인간을 이야기할 때 권력을 벗어난 이야기란 불가능하다(푸코). 모든 것이 권력의 결과이다. 버틀러는 인간이 젠더의 작용 - 문화적 식별 -을 반복하는 것으로 젠더를 영속화하는데 기여한다고 지적한다. 개인의 대화만이 아니라 미디어에서 무한 생산하는 프로그램들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그러면 비판적 인식과 변화를 위한 실천은 무엇일까.
“상징적 권위에 저항하는 사회 규범과 구성성을 나타내면서 얼마든지 변화 가능한 소문자법들이야말로 변혁의 잠재력이며, 시간성 속의 규범이 그 내부로부터 위치 이동과 전복에 열릴 가능성이라고 보는 것이다.”
자기 자리에서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 혹은 믿고 - 살아가는 이들에게도 고민은 있다. 불가피하고 필수적이다. 그러나 ‘부정’당하는 존재가 되면 그 고통은 내용도 크기도 달라진다. 정상을 규정하는 순간 비정상이 생기는 것처럼, 이성애규범이 작동하는 사회에서는 다른 모든 성애 혹은 무성애 범주에 포함되는 이들이 부정 당한다. #비결정성 #불확정성 #퀴어
“누군가를 공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관점이 아니라 그 사람의 내면적 자기동일성과 욕망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버틀러가 데이비드의 사례에서 찾으려는 것은 (...) 이미 그 ‘공정’이라는 표현 속에 들어 있는 규범적 가치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기도 하다”
내면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관계 속에서도 분리와 배제와 차별이 일상이라면, 퀴어의 삶은 어떻게 형성 가능할까. 조현준 저자는 젠더를 허물어야 한다는 버틀러의 주장을 차분하고 친절하게 설명해 준다. #공동체 #규제 #규정성 #그외관점들
“수술비와 관련된 재정 지원을 받으려면 이 체제 안에서 자신이 열등한 인간임을 인정해야 한다. (...) 젠더 정체성 장애자라는 의료 제도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 그런 병리적 진단을 포기하면 사회적인 ‘정상인’으로 남을 수는 있어도 재정 지원은 받을 수 없다.”
버틀러는 합리성의 외양을 한 규범의 불합리성에 대해 꿰뚫어보고 드러내고 언어를 찾아 전해주는 학자이다. 주체로서의 행위와 상호성에 위해를 가하는 폭력으로서의 섹슈얼리티 규정과 의료 권력, 정상성을 ‘권장’하는 사회적 압력, 사회화된 방식으로 타인들을 비난하는 구성원들, 존재가 범죄화되어 삶을 위협당하고 살해당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