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의 인문학 - 돈의 흐름을 읽고 경제의 정곡을 찌르는
가야 게이치 지음, 한세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2월
평점 :
이 책 덕분에 인문학人文學 , humanities을 검색했다. 인문학이란 학문의 영역이 무엇인지 정확히 몰랐다. 현대과학에서는 그 구분이 불필요해졌지만, 인문학은 인간 활동을 자연과학은 인간을 제외한 사물과 현상을 연구한다고 분류되어 있다.
무척 놀란 것은 ‘미국 국회법’에 인문학의 학문 영역이 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언어(language), 언어학(linguistics), 문학, 역사, 법률, 철학, 고고학, 예술사, 비평, 예술의 이론과 실천, 그리고 인간을 내용으로 하는 학문. (교육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부(富)’라는 것은 - 자신의 집, 창고, 계좌 등등에 필요 이상의 가치를 쌓아둔 것 - 은 인간만이 가진 개념이고 시스템이다. 이 책에서 부자와 인문학의 관계가 인문학적 배움을 갖춘 이의 결과적인 부인지, 인문학적 배움을 부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인지 궁금했다
각 장에서 사회학, 경제학, 수학, 정보공학, 철학, 역사학을 다룬다. 저자 본인의 경험기는 아니고, 사례를 통해 제시하는 방식이다. 특히 관심이 있었던 주장들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는 일단 실행하는 것이 철학적으로 옳은 태도다.
• 나라와 시대에 상관없이 차별 문제는 돈 문제와 얽혀 있다.
• 전쟁도 마지막에는 돈 이야기로 끝난다.
어느 분야건 선점한 뜻이 시대와 저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일독을 마친 후 이해한 내용과 원제를 다시 생각해 보았다. 인문학은 liberal arts로, 정의는 ‘진리를 깨우치는데 필요한 종합적인 지식과 생각이 인격과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세계의 연결망이 촘촘해질수록 세계가 점점 좁아지고 작아진다고 느끼지만, 작은 것이라도 바꾸고 싶거나 바로 잡고 싶을 때에는 모든 게 막막하다. 인간이 서로에게서 계속 배우는 존재라면, 모든 것은 학습 자료가 될 것이다. 배우고자 하는 집단의 지성을 믿고 싶다.
“민주주의는 최악의 제도이지만, 적어도 다른 제도보다는 낫다.” Winston Churchill
전 세계의 경제가 얼어붙는 가장 어두운 시간이 온다는 전망을 오늘 만났다. 이런 상황에 놓인 인류문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인문학 지식이라곤 없는 직업 기술자들이 통치 권력이 되는 현실을 견디기 위해서도, 인문학을 포함한 수많은 배움은 선택의 여지없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