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의 불평등 - 프레임에 갇힌 여자들
캐서린 매코맥 지음, 하지은 옮김 / 아트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

#아가씨와죽은처녀

#에우로페와겁탈

#강간문화



 

역사적으로 여성에게는 보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공부를 하고 전문적인 직업의 영역으로의 진입이 저지된 여성들에게는 책을 읽는 것도, 세상을 바라보는 것도 허용되지 않았다 -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여성들이 도전하고 싶은 무언가를 발견하면 안 되기 때문에 남성들의 세상을 보지 못하게 했던 것이다. (...)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그림들 중 일부는 여성들에게 보는look 행위를 금지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 그림은 중립적이지 않다. 그림은 해로울 수 있고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그림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고 무엇보다도 역사, 문화, 인종, 성정체성 등에 대한 이해를 지속하는데 도움을 준다. 여가 혹은 성취와 미의 감상이라는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이러한 힘은 대부분 조용하고 은밀하다.”

 

우리는 여성의 고통과 성폭력을 용인하는 우리 문화를 거스를 정도로 여성의 쾌락에 관심을 갖고 있는가? 아니다. (...) 시몬 드 보우아르는 <2의 성>에서 겸손함, 자존심, 극도의 섬세함 같은 쓸데없으면서 매력적인 특성들이 번성하는 것은 여성들이 신비화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여성들의 자율적인 쾌락을 거의 용인하지 않는 세상에서 해방을 위한 전략으로 쾌락을 받아들이는 것은 위험성이 따른다. (...) 자유가 없는 세상에서 자신의 욕망을 자유로이 좇는 여성은 괴물로 취급된다. 이제부터 그러한 여성들을 만나보자.”

  


 

범죄자의 트로피와 같은 작품들을 제외한, 시선의 불평등에 가리지 않은 미래의 예술을 보고자 한다면, 1972년 존 버거의 <다른 방식으로 보기>는 앞으로도 맹렬하게 추구되어야하는 평등 운동임을 확인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