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을 죽이는 사람들 - 영국 최고 법정신의학자의 26년간 현장 기록
리처드 테일러 지음, 공민희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9월
평점 :
처음 이 책의 제목을 보았을 땐 ‘직설’에 살짝 놀랐다. 책커버가 없다면 혼자서 읽어야할 듯. 그런데 며칠 만에 생각이 바뀌었다. 세상엔 사람을 죽이고 죽인 사람 또 죽이는 이들도 있(많)다. 빈소에 자사 빵 가져다 놓은 SPC 행태에 분노와 소름. 유족분들...
‘잭 더 리퍼’와 사립탐정들의 인기(?)로 잔혹범죄나 연쇄살인과 관련해 영국을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저자도 영국인 법정신의학자다. 연구 주제는 ‘살인자의 범행 동기와 심리 분석’이며, 26년간 현장에서 100여 건 이상 강력 범죄를 수사하였다.
실화라서 더 생생한 충격일 듯도 했다. “왜 죽이는가...” 정말 궁금하고 이유라도 속 시원하게 알고 싶은 질문이다. 설사 살인자들의 머릿속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해도.
“살인은 단순한 범죄가 아닌, 세계 공중 보건에 있어 중요한 문제다.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 살해당한 피해자의 수는 전 세계 46만 4천 명으로 매일 1천 건 이상의 사건이 일어났다. 테러 피해자만 2만 6천 명에 이른다. 계획범죄로 살해당한 여성의 수는 8만 7천 명, 그중 5만 명은 애인이나 가족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짐작보다 더 많다는 기록, 어쩌면 누락도 상당할 거란 의심... 왜?
“화, 분노, 충동, 두려움, 질투와 같은 '평범한' 혹은 적어도 이해할 수 있는 정신 상태의 극한에 도달했을 때 주로 일어나지만 사건 당시 이런 감정 상태와 정신병 사이의 경계가 모호할 수 있다. 정신 이상으로 벌어진 살인의 경우 일반적인 범위에서 벗어나버린다. 살인자는 현실을 완전히 잊어버리고 망상과 환각 상태에 들어선다.”
어느 정도라야 ‘이상’으로 진단을 받는지, 살인을 행할 정도의 극한 상태에 이를 수 있는 이들도 ‘이상’이 아닐 수 있는지, 나는 늘 이 지점에서 혼란스럽다. 다들 사회가 포용할 수 있는 스펙트럼을 이탈한 ‘이상’ 상태가 아닌가. 아무리 멀쩡한 척 연기를 하더라도.
물론 이건 비전문가인 나의 분노가 주장하는 바임을 알지만, 저자가 가해자들을 살피고 질환이 발견된 이들을 치료하였다고 하는데, 여전히 내게는 부글부글 의문이 남는다. 질환이 아님에도 살해한 가해자는 뭔가. 일시적 ‘이상’?
- 강간(성폭력) 살해
- 정신 이상자(진단/발견된)의 살해
- 존속 살해
- 영아 살해
- 자식 살해
- 애인(성별 불문) 살해
- 알코올 중독 등 뇌손상으로 인한 살해
- 살해 당시 기억 상실
- 절도 살해
- 폭력적인 극단주의/테러에 의한 살해
- 대량 학살 등등
잊을 수 없는 한국 사회의 살해들도 떠오른다. 선천적인 것도 후천적인 것도 아니며, 복합적으로 받은 영향이 살인자를 만든다고 한다. 특히 지속적인 학대가 성장배경에서 뚜렷하게 발견된다고.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20/pimg_739190168359859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20/pimg_739190168359859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20/pimg_739190168359859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20/pimg_739190168359859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20/pimg_7391901683598600.jpg)
그러니 범죄는 ‘누가’를 밝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왜’를 물어야 한다. 처벌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대책은 ‘왜’를 알아야 만들 수 있다. 모색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 접근은 있어야 할 것이다.
“가끔은 인간이 아무리 열심히 노력한다고 해도 살인으로 인한 비극적인 결과를 치료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응급실에서 수련의로 생활하는 동안 칼에 찔린 피해자를 치료하면서 법정신의학의 길로 들어섰다. (...) 인간이 인간을, ‘왜’ 공격하고, 해치고, 살해하는가?’ 저자 소개의 일부이다. 이 책을 통해 본 법정신의학자의 일과는 누구나 할 수 있는 게 아니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20/pimg_739190168359860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