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나를 바꾸기로 했다 - 아무것도 하기 싫은 나를 위한 성장 심리학_꿈과 성장
우즈훙 지음, 이에스더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10월
평점 :
이번 주에도 몇 개인가의 탄원서에 서명을 했지만 오늘도 무탈하고 안전하게 살았다. 멸종은 두렵지만 생존에 관한 일상적인 고민을 할 필요가 없으니 내 자신만 좀 관리하며 부끄러운 모습은 안 보이고 살면 된다. 그런 고민을 하는 이들을 위한 심리학 저서들은 충분히 많다.
“자기 마음을 학대하지 말라. 내면의 나쁨이 주도하더라도 경계와 주관을 바로 세워야 한다.”
이 책의 제목은 딱 내가 감당할 주제이다. 종종 왜 화를 내는지 이유가 부끄러운 삶이라서 나는 내가 큰 걱정이다. 위인을 못 되어도 좋은 사람은 되고 싶었는데. 이해와 수용이 폭이 좀처럼 넓어지지 않는다. 그러니 좀 더 경계한다.
“개념으로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가고 있다면 거짓된 세계에서 살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들은 쉽게 짜증낸다. 현실의 자극이 자신의 이성적 범위에서 벗어나 통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만큼 미성숙하다는 증거이다.”
모든 문장에 동의할 수는 없지만 경계의 내용으로 삼을 것도 있다. 개념으로 만든 세계가 모두 거짓이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짜증이 울컥거리는 건 미성숙의 증거가 맞기도 하다(내 얘기). 통제를 바라는 심리 또한 부정할 수는 없다. 나는 통제광control freak이란 평도 들었다.
내 생각엔 겁쟁이라서 그렇다. 돌발, 낯섬, 새로움이 무섭고 불편해서, 유연하게 대처할 능력이 부족해서 가능한 변수를 줄이고 싶은 것이다. 그런 시간이 길어지니 대인 면역력도 약해졌다. 모두 다 다르다는 걸 알면서도 어찌할 바를 몰라서 곤란하다.
“관계 맺음은 서로의 거울이다. (...) 스스로 거울을 내면화해 자신과 다른 사람을 관찰하게 된다.”
‘관계’ 라는 것도 종류가 너무 다양해서 갈수록 관계의 정체나 깊이를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그야말로 이합집산, 목적과 필요에 따라 만나고 멀어지고. 그런 관계가 나쁘다는 게 아니다. 삶 전체를 친밀한 관계를 채워 살 수도 없고 할 수 있는 일도 드물다.
오늘처럼 감정이 끼어들 때 - 사람들이 함께 하는 모든 시공간에 발생하는 보편타당한 일 - 스스로의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 비로소 상대에 대해 정리해보게 된다. ‘기능’ 담지자로 생각한 이가 존엄성을 해치면 안 되는 존재로 보인다. 동시에 우리가 표면적superficial으로 살아가며 채우는 관계들이 삶에 얼마나 많은지를 절감하게 된다.
“자기감정을 되찾지 않으면 모순적 관계에서 자신의 자아를 영원히 상실하게 된다.”
이 정도는 아니지만, 현대사회의 모든 계약에는 감정을 감추고 자아를 내세우지 않으며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조건들이 즐비하다. 그러니 우리는 자신을 잃었다 잊었다 찾았다 하는 분열을 견디며 버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