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와 부모를 위한 긍정 훈육 - 내면이 단단해지는 상호존중의 공감 수업
제인 넬슨 지음, 김선희 옮김, 김성환 추천 / 더블북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라도 단호하고 선명하게 정리해주고 제안해주면 일단 무조건 고맙다. 삶의 대부분을 관련 분야 공부를 하고, 현장에서 일하고, 강의를 한 저자라면 더 고맙고 의지가 된다. 이해와 상호존중을 토대로 한다니 배울 점이 많을 거란 기대가 컸다.

 

목차를 보고 내용이 범상치 않을 거란 짐작은 했지만, 읽다 보니 이건 혼자 읽기보다 이 책을 교재로 강의를 듣는 게 더 좋을 내용이다. 정말 하나도 쉬운 건 없다. 어쩌다보니 힘겨루기, 장점에 초점 맞추기, 자존심 상하게 하지 않기는 비슷하게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여전히 매일 의사소통의 격차는 염려되고, 칭찬의 위험 수위도 판단이 어렵고, 수치심이 없이도 책임감을 느끼게 하는 방법도 어렵고,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스스로 연마하는 것 외에 가르칠 수 있는 문제인지 고민이고, 그릇된 행동은 제발 대처 안 할 수 있으면 한다.

 

실수란 뭔가를 배울 수 있는 멋진 기회라는 걸 가르쳐주자, 실패를 경험하게끔 하면, 아이들은 문제가 생겼을 때 그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스스로 깨닫는다. 스스로 일어서는 법을 배워 엄청난 혜택을 본다.”

 

어른들이 주의를 반복하거나, 함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어른이 문제를 해결해 아이들에게 그 책임을 빼앗아버리는 한 아이들은 행동에 책임지는 걸 결코 배울 수 없다.”

 

저자가 지적하듯이 어른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개념(과 실천)부드러우면서도 단호한 태도이다. 이게 가능하려면 상당한 수련 내공이 필요하다. 아이들을 상대로 하는 경우만 말고 어른들끼리의 태도로서도 이는 필요하고 내 생각엔 최선이다.

 

훈육을 어떻게 정의하는가가 중요하다. 종종 훈육이라는 단어를 잘못 사용할 때가 있다. 많은 사람이 훈육을 처벌과 같은 것으로 생각한다.”

 

부드러운 태도는 아이에 대한 배려를 드러내기 위해 중요하다. 단호한 태도는 우리 자신에 대한 존중, 그리고 상황의 필요성을 드러내기 위해 중요하다. (...) 부드러움과 단호함은 긍정 훈육에서 핵심적인 요소다.”

 

특히나 미디어에 노출된 온갖 저질스러운 말과 행동을 떠올리니 한시바삐 이런 태도가 기초적인 교양수련이 되면 좋겠다. 어린이들이 어른들 이외의 누구에게 생각과 말과 행동과 태도를 배우겠는가. 특히 미디어에 어른들의 무지와 생각 없음이 공개될 때는 아찔하다.

 

책을 통해 새로운 관점, 태도, 원칙, 이해를 돕는 요인들을 읽고 배우고 실천 가능한 방식에 도전해보고, 양육/훈육을 책임지는 어른으로서의 우리를 살펴보고, 묵직하게 받아들이다 보면 12장에 담긴 이론과 방법을 일독할 수 있다.


 

저자는 양육/훈육자의 고충을 충분히 잘 이해하고 있어서, 친절한 설명에 복습을 위한 요점 정리와 질문까지 수록해주었다. 이 모든 것을 다하고도 어른들에게는 훈련과 실천이 필요하다. 내면이 단단한 상호존중... 탐나는 눈부신 관계다.

 

말보다는 행동을 강조한다. 말이 필요한 경우라 할지라도 가급적 말은 적을수록 좋다. 아이들을 문제 해결 모임에 참여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