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삶을 재부팅하기로 했다
남효승 외 지음 / 지식과감성# / 2022년 8월
평점 :
장수가 덕담만은 아니게 된 현실이 묘하다. 분명 국적도 있고 사회 공동체에 살고 있지만 어쩐지 급할 때는 각자도생이 필요한 현실이라 그렇다. 졸업만 하면 이제 누가 나보고 시험보란 얘긴 더 안 하겠지, 그렇게 성장기가 끝났다.
하고 싶은 일과 할 수 있는 일 사이에서 방황했지만 그럭저럭 밥벌이를 하고 사는 삶도 곧 끝날 것이다. 성장기의 터널보다 이 두 번째 여정이 더 지긋지긋하고 좀 더 본질적으로 싫다. 출근했다 목숨을 읽는 분들이 너무 많아 배부른 소리 같게 들리는 노동환경도 참담하다.
이 책의 공동 저자 6분도 충실히 살다, 그 삶을 돌아보고, 오늘 이후의 삶을 설계하며 계획에 고심한 분들이다. 당황스럽게, 화나게, 열심히 살아봤는데 남는 게 없다는 자각을 품고, 뭘 하고 있는지, 뭘 할 수 있는지 끊임없이 자기 의심을 했다.
나는 모르는 직업 세계 - 라이프코치, 트래킹 플래너, 심리해석 상담사, 세계 산행 가이드, 리더십 강사, 음악 칼럼니스트 - 들이 등장해서 취향과 호기심을 충족시키며 흥미롭게 엿보았다. 다른 시기에 비해 은퇴 이후의 삶은 어쩐지 더 버겁다.
이미 체력도 소진되고 기회도 적고 새로운 것에 매진할 의지도 상대적으로 약한 시기라 더 그런 것 같다. 뭘 더하란 말인가 싶은. 그렇다고 아무 것도 안 하기엔 어쩌면 장수할 수명이 두려워진다. 90-100세까지 살아 있으면 어쩔 것인가.
한편으로는 ‘삶’을 재부팅하고 대비하고 계획하고 일상을 계속 유지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죽음’도 준비해야 한다. 사정에 따라 죽음 이후의 상황도 최대한 정리해 두어야 한다. 고되다. 이런 게 어른의 삶이라면 피터 팬 따라 진작 네버랜드로 훨훨 떠났으면 좋았을 뼌.
약 오르게도 기회란 언제나 안정과 교환되기를 요구한다. 그래서 이 시기는 잘못하면 비참해질 수도 있지만, 비로소 살면서 누가 나에게 이래라저래라 하지 않을 내 삶을 살아볼 시기이기도 하다. 졸혼이 유행한 것도 맥락은 비슷할 것이다. 참견, 충고, 강요 다 XX! 그런 심정.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5/pimg_739190168354655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5/pimg_739190168354656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5/pimg_7391901683546561.jpg)
“지금까지는 학교와 직장으로 이어지는 큰 조직의 구성원으로 살아왔다면, 삶의 후반기에는 그것을 벗어나서 내가 좋아하는 영역을 찾아서 배우고 익히며 다른 이들과 즐거움을 나누는 삶을 사는 것이 아름답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905/pimg_739190168354656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