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죽음 - 살아가면서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것에 대하여
장 아메리 지음, 김희상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제 제기와 논쟁을 거친 후대에 태어난 특권과, 살면서 고착된 사적 세계관이 작동하는 틀을 너무 빨리 적용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첫 일독은 저자의 문장들에만 집중하여 읽었다. 내용을 이해하고 흐름을 정리하고 주장이 탄생한 맥락을 살펴본다.

 

세미나 혹은 북클럽에서 함께 읽고 토론하면 가장 좋을 책이라서 혼자 읽자니 아쉬움이 컸다. 죽음을 통해 삶을 톺아보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그 중에서도 자살이라는 방식은 삶의 존엄성과 함께 사유될 중요한 주제이다.

 

문명을 이루고 사회를 구성하며 사는 것을 자랑스러워하고 그런 방식이 진화된 인간의 모습이라 여기면서도, 어떤 주제나 논쟁에 대해 불쑥 자연스러움을 끌어오는 주장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 멸칭과 미덕이 혼재된 용어라 판단의 기준으로 삼기에 적당하지 않다.

 

개체로서의 인간이 거의 유일하게 소유하고 활용 전권을 가질 수도 있는 신체는 당사자에게만 온전히 속하는 권리이다. 신체에 대해, 삶에 대해, 죽음에 대해 당사자 말고 누가 대신 결정해준다는 것인가. 그런 주장들은 월권으로 느껴진다.

 

다소 과격한 이 발언에는 자유와 권리를 최고의 가치로 옹호하려는 의도가 내게 강하다기보다는, ‘살해에 대해 더 고민하는 것이 덜 위선적이라는 반발심이 있기 때문이다. 공사 영역 불문, 당사자의 의지에 반하는 살해가 매일 끊이지 않고 있다.

 

한편으로는 사회가 냉혹한 무관심으로 일관하면서, 다른 쪽에서는 자발적으로 인생의 고리를 끊고 나가겠다고 해서 필요 이상의 과열된 관심과 근심으로 소동을 떠는 이중성으로는, 인간을 올바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개인이 사회의 소유물인가?“

 

자유의지와 생명이 귀한 가치라면, 인간 사회에서 근절된 적 없는 살해들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처벌하고 예방하는 일에 목소리를 먼저 보태야하지 않을까. 고령과 불치의 질환으로 존엄성을 잃게 되는 대신, 자유롭게 죽음을 선택하고자 하는 이들과 조력자들을 대단한 사회악인 것처럼 표적삼아 비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체적으로 볼 때 사회는 자살이 얼간이나 반미치광이가 저지르는 짓쯤으로 폄하한다. 단지 당사자의 닫힌 세계 안으로 사회가 들어가 볼 수 없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살해보다 자살을 비난하는 것은 위선이다. 좋게 보면 무지로 인한 오판이고 솔직하게 보자면 논리도 설득력도 타당성도 없는 헛소리다. 누가 더 멍청이인가. 정확하게 모르는 일에 대해 재빠른 판단을 내리는 것은 오만이다. 누가 그런 권리를 주었는가.

 

성실하고 타인을 배려하고 예의를 다 하며 살던 선배가, 거실에서 놀고 있는 어린 자식을 두고 베란다 창을 열고 삶을 멈췄다. 믿을 수 없었고 통탄스러웠지만 우리가 보일 반응이 자살을 선택한 행위에 대한 비난이 아니란 것은 분명했다. 그저 애도했다.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몰라서 미안하기 때문이다. 견딜 수 없었던 고통과 괴로움을 스스로 멈췄다고 이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죽기보다 못한 삶이라도 계속 살아야 한다고, 대책도 없이 강요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나는 다음과 같이 말할 자격이 있다. 너희에게는 별것 아닌 돌발 사건일 수 있다. 이를 부정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나에게 있어 그것은 인생의 결정적 사건이다. 너무나도 결정적인 나머지 나는 나 자신에게 죽음을 선고한다.”

 

아프고 괴로워서 나는 결론을 성급히 내렸을 수도 있다. 마무리를 하고 떠나고 싶었을 지도 모르겠다. 그렇기 때문에 천천히 치열하고 치밀하게 자유 죽음을 주제로 잡고 묻고 또 묻는 이 책이 무섭지만 반가웠다. 외면하던 것들을 마주봐야할 시간이 닥친 듯했다.


 

읽던 도중에, 방식은 자살이었으나 일말의 거부감도 생기지 않았던 분들의 죽음이 떠올랐다. 스코트 니어링은 100세 생일 한 달 전, ‘더 이상 먹지 않으려 한다고 전하고, 아내 헬렌의 표현에 따르면 느리고 품위 있는 에너지의 고갈, 평화롭게 떠나는 방식, 스스로 원한 단식, 자발적 죽음을 선택했다.

 

존경하는 일본의 반핵물리학자 다카기 진자부로는 암투병 중에 산소호흡기를 자신의 손으로 떼고 이제 그만하지라고 하셨다. 진짜 전문가가 올바른 설명을 겸손하고 차분하게 하는 동안은 핵마피아들의 기세도 입을 다무는 듯해 늘 의지가 되었다. 죽음 직전에 남긴 메시지는 매년 다이어리에 새롭게 필사해둔다.

 

불과 작년, 친구의 어머니께서 병문안을 간 나에게 자신의 가족들에게 잘 말해서 더 이상 아무 노력도 하지 말라고 전하라고, 그런 부탁을 하셨다. 연명 시도들이 너무나 고통스럽다고 하셨다. 다행히 가족들이 동의하여 귀가 후 며칠 간 편히 지내시다 조용히 숨을 거두셨다.


 

모든 방식의 죽음을 거부하고 자살을 용납하지 못한다는 개인과 사회의 이유도 일리는 있다. 다만 그 이유가 당사자에게도 합당한 지 반드시 고민해야 한다. 인구가 국력이라서, 종족 보전을 위해, 부도덕해서, 종교적 금기라서, 상담치료를 받지 않는 건 무책임하니까, 더 노력해서 열심히 살 수 있는데 게으른 선택이니까. 이런 것들로는 충분하지 않다.


 

생명은 귀중하고 삶이 살만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으려면, 일상에서도 생명을 귀하게 여기고 살만하지 않은 환경에 처한 사람들을 구하는 시스템이 작동 중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살아라, 살아야 한다는 주장은 거짓말, 사기, 선동이다.

 

퇴근하지 못하고 작업 현장에서 죽어가는 이들, 병에 걸려서, 실직으로 생활고에 시달리다, 가정, 학교, 직장의 폭력으로, 노인이라서 아이라서 여성이라서 소수자라서 죽임을 당하거나 죽음을 선택하는 이들이 너무나 많다. 어떻게 살아남아야 했나.

 

인생이 살 만한 것이라고 경험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길 바란다. 원하는 대로 살 수 있어 행복한 사람들도 늘어나길 바란다. 굳이 강권하지 않더라고 사는 일이 즐겁고 기쁜 경험이길 바란다. 누구도 제 존재를 부정당하지 않고, 타인의 이익 따위를 위해 희생당하지 않는 사회가 먼저 오길 바란다.


 

나는 인간의 수명이 짧아서 서글프고, 가능하면 감각과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오래 살고 싶지만, 그렇게 하지 못할 경우, 자발적으로 죽음을 선택하고 싶고 그럴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누가 나에게 모욕을 감수하라고 강권할 수 있단 말인가. 나는 인정할 수 없다.

 

실망도 좌절도 잦았다. 현실은 갑갑하고 희망은 흐릿하다. 그래도 나는 역시 태어난 것이 기쁘다. 살아볼 수 있어서 기쁘다. 온전하게 오래 살아 보고 싶은 일들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불가항력이 아니라면 죽음도 나의 자유가 온전히 발현된 선택이길 원한다.

 

기후학자들이 티핑포인트를 지나 회복 불가능한 골짜기로 떨어지는 - 그 순간부터는 모든 노력이 무용한 - 시기가 5-6년 남았다고 한다. 그 예측이 틀리지 않다면 모든 고민은 무가치하다. 그럼에도 사는 동안 한 걸음이라도 바라던 방향으로 옮기고 싶다. 그 지향이 나와 우리의 삶과 죽음을 존엄하게 만드는 방식이라 믿는다.

 

내가 죽으면 나에겐 아무 의미도 없는 세상, 눈만 감아도 아무 것도 보이지 않고 사라지는 세상, 찰나의 삶과 실재한다고 믿는 세상 중에 무엇이 신기루인지 둘 다 허망한 것인지 모를 일이지만, 오늘도 태어난 새로운 동료들을 위해 간절히 바라고 싶다. 조금이라도 더 오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