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빌리티 - 탈것의 혁신에서 공간의 혁명으로
차두원.이슬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율주행으로 대표되는 모빌리티에 관심이 크다여러 이유가 있지만제도가 한없이 느리니 현재의 교통 약자들을 위한 어쩌면 가장 빠른 기술적 대안*이 될 수도 있을 듯하고더불어 장애나 노화로 인해 교통 약자가 될 내 미래도 걱정이 되기 때문이다.

 

교통약자를 위한 목적 기반 모빌리티(Purpose Built Vehicle)

 

포스트 모빌리티는 짐작보다 큰 개념이다엄밀하게 따지면 움직이는 것mobile은 모두 모빌리티가 할 수 있다또한 차량이나 기구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 더 근본적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도시 재설계는 이동시간과 차량 사용을 줄이면서 짧은 시간 안에 이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15분도시로 진화하고 있다. (...) 도보자전거퍼스널모빌리티의 이용을 장려해 교통비 절감탄소배출 감소교통체증 해소 등의 경제적·환경적·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돕고시민들의 삶의 질과 연관된 다양한 주요 시설을 분산시켜 지역의 불균형 발전과 격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충전이 안 된다면 전기차를 사서 무슨 필요가 있겠는가포스트 모빌리티로 마찬가지이다예를 들어 자율 주행이 가능하려면 자율 주행이 가능한 공간이 필요하다차량에 자동 탑승되는 휠체어를 문제없이 실을 수 있는 차량이 먼저 준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지형과 인프라는 이러한 활성교통에 친화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15분도시는 단순히 시민들에게 단거리 생활권을 제공하고자 하는 계획이 아니다차량 중심이던 기존의 교통체계가 활성교통 중심으로 바뀌고도시공간이 사람들의 삶을 중심으로 재구성되는 공간의 새로운 움직임이다.”

 

몇 년 전싱가포르가 MIT와 함께 싱가포르 - MIT연구기술협력체 (SMART, The Singapore - MIT Alliance for Research and Technology)’를 설립하고 공동으로 자율주행 휠체어를 개발했다. 2016년 9월 종합병원에서 병원 복도를 주행해 목적지에 도착하는 등 자율주행 실증 테스트도 진행했다.

 

한국 정부도 202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이 합동으로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을 발촉하고, 2025년까지 총 사업비 1조 1,971만 원을 투자해 제품 개발미래의료 선도의료 복지 구현사업화 역량 강화 등에 노력한다고 발표했다.

 

2년 전에도 자율주행의 시대가 곧 도래한다는 책을 몇 권 읽었다길진 않지만 짧지만도 않은 시간동안그리고 현 정부의 예산과 정책을 봐서는 기대만큼 빨리 공간이 마련될 것 같지 않아서 아쉽다.

 

아직 완전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해 넘어야 할 벽은 적지 않다레벨상용화가 2021년에 시작된 상황에서 글로벌 규제국가별 규제가 개선되고 사회적 합의도 함께 진행돼야 하지만 기술과 제도 간의 보조는 동시에 진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기존의 차량 개발보다 더 복잡한인공지능사물인터넷 등 차세대 기술이 다양하게 활용되어야 하는 계획이다만약 모빌리티기 본격 개발 후 판매활용되기 시작한다면주거 공간과 공공 시설물 역시 바뀌어야 한다.

 

많은 국가도시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기술개발투자규제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그러나 많은 노력을 했어도 시장 형성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시장진입을 빨리 했다고 승자가 된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게 기술집약 산업의 특징이다.”


 

교통약자라는 표현이 사멸되고 이동 평등권이 이뤄지길 바란다완전하진 않겠지만 보조공학의 활용처럼기술개발에 기대볼 부분을 살펴볼 수 있어 유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