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읽기를 회피하거나 싫어한 적은 없지만, 전공과 관련이 없는 책 읽기와 쓰기를 기록처럼 하게 된 건 얼마 되지 않는다. 읽는 행위야 독자인 내가 달라지지 않는 한 크게 변할 게 없지만, ‘쓰는 일은 원래도 과문했지만 쓰기 시작하니 무척 다양한 형태가 있다는 것을 알고 놀랐다.

 

3년 전의 글을 봐도 문장들이 나는 이들을 읽는 이들과 대화할 생각이 없다라고 주장하는 것처럼 안 읽히는 어휘들이 가득하다. 글로도 대화한다는 걸 배우는데 오래 걸렸고 늦게 배웠다.

 

지금은... 자기검열 없이 쓰는 내 글이 궁금해서, 그리고 노화로 날로 약화되는 기억을 채울 용도로 여긴다. 오타만 많고 여전히 잊어버리는 결과를 반복하긴 하지만.

 

망각이 개입하는 대상이 책의 내용이 아니라 독서 행위 자체이기 때문이다. (...) 결국에는 그 대상과 관계된 것은 무엇이건 모조리 다 먹어치우기라도 하는 것처럼 아예 읽는 행위 자체를 지워버리기 때문이다.”

 

전공 서적 읽기에 고생(?)을 한 덕분인지, 그것도 일종의 훈련이 되었는지, 읽기에 대한 두려움이 별로 없고, 안 읽히는 책을 만나도 거의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뻔뻔하고 자기 합리화에 강한 성격 탓인지도 모른다.

 

사실 책이라는 것은 주변에서 회자되는 얘기와 무관하지 않으며 그런 것들에 의해 수정되는데, 이를 테면 대화의 시점도 텍스트를 변화시키는 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안 읽히면 안 읽으면 그만, 지금 내게 중요한 주제가 아닌 가보다, 대강 이렇게 정리된다. 간절해서 무리하는 법이 거의 없다. 대부분의 책들이 비겁한 현실 도피용으로 이용당하는 독서라 그런 지도 모르겠다.

 

어차피 두 사람의 내면의 책이 서로 부합될 수 없는 거라면 (...) 두 존재가 얼마나 서로 분리되어 있는지를 확인시켜 줌으로써 (...)”

 

어쩌면 내게 장르 구분은 의미가 없을 지도 모른다. 고민하고 현실을 바로 보는 시간이 무서워 책 속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할 지도. 그러다 현실을 바로 보라는 꾸지람을 저자로부터 문장으로 듣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진실보다는 자기 진실이 훨씬 더 중요하다. 우리의 내면을 억압적으로 지배하며 우리 자신이 되는 것을 가로막는 것, 즉 교양 있는 사람으로 보여야 한다는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는 자만이 자기 진실에 이를 수 있다.”

 

어떤 책을 읽지 않아 부끄럽지도 어떤 책을 읽어 자랑스럽지도 않다. 재밌고 즐겁고 모르던 것을 배워 좋았고 잘못 알던 것을 바로 잡아 기쁠 뿐이다. 독서에 대한 내 태도가 지나치게 진정성이 없나... 잠시 반성해본다.

 

아주 영리하게 아닌 척 하는 심리학 설문 조사에 응해서 자발적으로 답변하고 있는 기분도 문득 든다. 물론 불쾌하진 않다. 그렇다고 해도 독자로서 네 자신에 대해 알아가라는 목적이니까.

 

그나저나 이번엔 시험도 본다고 클럽장님이 예고하셨는데, 예상 문제를 예상할 수가 없구나... 얼맥이나 한 잔 더하자...

 

예술적 창조가 있기 위해서는 비평 정신이 발동되어야 하고 그것 없이는 예술적 창조가 결코 존재할 수 없는 만큼 (...) 비평은 사실상 창조적이자 독립적인 것이라네.”

 

흔히서평을 쓴다고는 하지만, 실은 감상문과 소개글이 아닌가 한다. 이 글은 물론 다른 모든 책들에 관한 글이 다 그러하다. 서평이란 단어는 무척 무겁고 어렵다. 잘 모른 채로도 하는 일이 이것만은 아니지만.

 

마지막으로... ‘일독은 이해하는데 완독은 모르겠다. 책을 읽으면 다 알게 되는 경우가 많을까. 읽히는 것만 읽고 모르는 것은 넘어가는 내 독서방식 탓에 나는 완독이란 단어를 이해할 수 없는 지도 모르겠다. 모르고도 완독했다고 몇 번 쓰긴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