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팝의 고고학 1960 - 탄생과 혁명 한국 팝의 고고학
신현준.최지선 지음 / 을유문화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필사 2부

 

어릴 적 거실의 한 벽면을 차지한 전축과 턴테이블 판들... 당시에는 관심이 없어 부모님 소장품 목록도 기억하지 못한다. 40년대 생인 부모님께 드문드문 듣던 대중예술인들과 음악다방이슈가 되었던 사건들을 소환하며 떠올리며 지난 세월을 실감하며 읽고 기록한다.

 

- 우리가 비틀스 음악을 처음 들었을 때는 소음이지 음악이 아니었어요너무 시끄러웠죠. (...) 근데 점점 좋아지기 시작해서 하여튼 비틀스 곡은 히트 치면 전부 다 연주했죠.

 

- 1967년은 대중문화와 대중음악의 역사에서 하나의 획을 그은 해로 기록된다이른바 총구에 꽃을 꽂고 평화와 자유를 외친 플라워 무브먼트와 대항문화가 절정을 이룬 시점이기 때문이다.

 

- 1969년 가수왕을 호명했을 때객석은 놀라움과 환호성으로 어지러웠다뜻밖에도 데뷔한 지 1년밖에 되지 않은 신인인 펄 시스터스가 가수왕으로 선정된 것이다. (...) 가수가 갖춰야 할 요건은 가창력이 거의 전부이던 시절이들은 거기에 처음으로 비디오형’ 미모와 춤을 겸비한 존재였다.

 

- 서병후는 1960, 70년대 팝 혁명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였다. (...) 1967년 한국 최초의 팝 음악 매거진 팝스 코리아나를 창간했으며

 

- 1970년대 한국의 전체 인구는 약 3천만 명라디오 보급대수는 360여만 대, TV보급대수는 50여만 대였다하지만 TV 보급대수는 1971년에 80여만 대, 1972년엔 100만대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 1960년대 후반이 라디오의 전성시대였다면, 1970년대 초는 TV가 급부상한 시대였다.

 

- 소울-사이키라고 뭉뚱그려서 명명된 새로운 대중음악의 조류가 기성 가요계에 균열을 일으켰다는 점이다. (...) 소울 가요 태풍의 핵은 단연 신중현이었다.

 

- 당시에는 음반을 만드는 것은 음악과 관련된 장사 가운데 가장 하질의 것이라고 생각했다. (...) 1960년대까지는 평론가는 물론 연주인과 가수조차 음반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 (...) 음반을 발표하는 것은 무대 수입을 올리기 위한이른바 몸값을 올리는 방편이었다.

 

- 크리스마스 이브는 통행금지가 없어서장안의 멋쟁이들이 명동 등지의 거리로 쏟아져 나와 생음악 살롱이나 고고 클럽 등에 거나 밤새 쏘다니며 즐길 수 있는 해방일이었다.

 

- 모방이든 뭐든 멋모르고 놀고 즐기면서 좋았던 시절이 지나가고 있는 것도 분명했다달리 말해 청년 문화에 자의식이 필요한 시점이 오고 있었다.

 

- 조용호의 경우 포크컨트리칸초네 등의 감미롭고 예쁜 음악을김정호는 피아노에 의존하는 단아하고 스탠더드한 음악을이해성은 맑고 격조 있는 포크송이나 샹송을이종환의 경우 감상적이고 무드 있는 통기타 음악을 각각 좋아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 한 대수는 1974년 군에서 제대한 뒤에야 음반을 발표하지만 그가 한국에서 자작 포크의 선구자라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하기는 힘들다.

 

- 이장희는 한국에서는 거의 최초로 구어체 가사를 쓰면서 작사의 새로운 지평을hook이 강한 후렴구를 가진 악곡 형식으로 작곡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혔다. (...) 그는 그 이전까지의 관습적 록과 관습적 포크를 모두 넘어서는 놀라운 차이성을 보여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