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살리는 옷장 - 지속가능한 패션을 위한 고민
박진영.신하나 지음 / 창비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전세계 패션 시장의 규모는 약 3,690조원

- 매년 800억벌 가량의 옷이 매매

- 전세계 노동인구의 1/6이 관련된 대규모 산업

- 2000년대 유행하고 자리 잡은 패스트 패션 산업의 다양한 페혜

- 저렴한 옷을 만들기 위해 인건비는 낮추고 노동환경은 열악해지고 강도는 높아졌다.

- 폴리에스터는 면 섬유에 비해 2, 3배 이상의 탄소 배출

- 청바지 한 벌 생산에 한 사람이 10년 마실 물이 소비

- 원단 표백과 염색 시 화학물질은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

- 팔리지 못한 수많은 상품은 그대로 폐기

- 세계 탄소 배출량의 10%, 폐수 발생의 20%, 미세플라스틱의 35%가 합성섬유의 세탁으로 발생한다.

- 동물성 제품 소재를 얻기 위한 동물 학대와 환경 파괴

 

이 책의 내용만 정리해서 나열해도 끝이 없다. 나는 사실 이런 복기와 요약이 지겹기도 지치기도 하고, 하다 보면 또 기운이 나기도 한다. 완벽한 삶은 사는 사람도 없고 살 수도 없기 때문에, 고민하고 기록한 이들이 제안한 무엇이라도 하나 하는 사람이 늘면 그건 확실한 희망이니까.

 

그래서 하나라도 덜어내는 방식으로 만들고 소비하는 것은 늘 개인적인 실천으로 필요하다. 아무거나 하나, 가장 하기 쉬운 것을 한 번이라도 해보시라. 윤리와 도덕적 실천은 짐작보다 훨씬 뿌듯한 만족감을 주기도 한다.

 

대단한 일은 못하지만 속옷과 양말을 제외한 옷을 구매하지 않은지가 꽤 되었다. 작은 구멍이 난 티셔츠쯤은 아무렇지 않게 입는다. 건조 기후에 사는 사람처럼 겉옷은 베란다에서 환기시키는 것으로 세탁을 한 것으로 친다.

 

육식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내가 쌓아가는 다른 탄소마일리지를 상쇄하며 사는 중이다. 현실에 대해 무척 양가적 감정을 느낀다. 20년도 더 전에 치열하게 논쟁했던 이론의 일부분이 이제야 실천 이론으로 역할을 하는 것이 반가우면서도 그 속도감에 처절하게 절망하기도 한다.

 

말끔한 눈으로 보면 세상은 절망으로 직진하는 중이다. 뭐 그리 안타까울 게 있냐고 물으면 대답도 궁하다. 그래도 마구 사서 유행이 지났다거나 입기 싫어졌다거나 하는 이유로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에게 나의 의류 쓰레기 더미를 쏟아 붓는 일은 정말로 하고 싶지 않다.



 

대단하게 훌륭한 어른은 못 되었지만 파렴치한 행위의 결과들은 가능한 줄이며 살고 싶다. 오래전 베지터블 레더라고 해서 변명삼아 사버린 부츠가 더워진 계절 속에서 홀로 방치 중이다. 소재만이 아니라 가공과정도 문제라는 걸 알면서도 눈감은 대가... 아프게 추궁당하며 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