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질문법 - 조직의 성과를 이끄는 신뢰와 협력의 소통 전략
에드거 H. 샤인.피터 샤인 지음, 노승영 옮김 / 심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답변을 정확히 한다는 것은 중요한 능력이고 꼭 필요한 일이다. 그럼에도 굳이 따져보자면 ‘정확한 질문’을 하는 일이 좀 더 어렵고 중요한 일이다. 질문을 만든다는 것은 종합적인 능력과 판단으로부터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조직에서 질문은 그 조직과 업무 담당의 수준이다.
 
- 무엇을 물을 것인가
- 언제 물을 것인가
- 어떻게 물을 것인가
 
이 책의 제목은 조직 내의 소통과 리더십에 대한 가장 중요한 요소 질문inquiry이며, 겸손하다는 표현이 한편 낯설어서 궁금증을 유발한다. 단어에서 연상되는 것 이외의 진지하고 깊이 있는 내용을 알고자 반갑게 읽었다.
 
조직, 리더십, 소통을 다루는 책답게 궁금할 법한 내용이 문장이 아니라 보기 좋게 정리되어 있다. 낭비 없는 정보 전달은 여러 책을 가능한 많이 읽고 정보를 종합하는 나와 같은 독자들에게는 반가운 방식이다.
 
겸손한 질문
 
겸손한 질문은 상대방의 발언을 끌어내고자신이 답을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해 묻고상대방을 향한 호기심과 관심을 바탕으로 관계를 맺는 기술이다.”
 
: 역시 질문은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구나 이런 기능을 하는 능력을 갖추는 일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겸손한 질문은 (...) 자신의 질문에 대한 상대방의 반응을 경청하고 그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며 관계 맺기 과정에서 자신을 더 많이 드러내는 것을 아우르는 총체적 태도다.”
 
: 기술로서도 태도로서도 ‘총체적인’ 일종의 자격이 필요한 일이 질문하기다. 질문을 받기도 하고 하기도 한 경험으로도 정말 쉬운 일이 아니다. ‘정의’에는 무척 공감한다.
 
자신이 알지 못하거나 혼자 힘으로 이해할 수 없는 복잡한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대안이 여러 개라 혼란스러울 때, 문제 자체가 아주 복잡할 때, 상반되는 견해나 제안이 강할 때, 혹은 문제 자체를 제대로 이해하기가 힘들 때 가장 효율적인 방식은 질문을 통해 문제를 분석하고 해체하는 것이라 믿는다. 최초의 원인, 혹은 중심 의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면 파생된 문제들이 풀리는 경우도 분명 있다.
 
“개인 간 소통과 관계 맺기란 언제나 복잡하고 상호적인 춤이라는 생각이 든다관계 맺기의 목표는 자신의 은밀한 자아를 더 많이 드러냄으로써 서로의 맹점을 줄이는 것이어야 한다.”
 
: 단언이나 평가를 전제한 제안이나 태도는 말을 시작하기도 전에 상대가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만들고 그런 방식의 제언은 나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때일 때도 있다.
 
번역서라서 영어 원문의 뉘앙스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질문을 통해 자신이 정말 궁금한 것, 모르는 것, 이해하려는 태도를 보인다는 것이 질문 주체를 드러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상대가 그런 태도와 분위기에 편안함을 느껴 동일한 방식을 취한다면 그제야 서로의 맹점이 확실해질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상황과 상대가 달라 매번 새롭게 세팅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조직 생활이고 인간관계이지만, 기술과 태도에 있어 활용 범위가 넓은 기준이 있다면 분명 도움이 될 것이다. 잘 읽히고 솔직한 조언들이 도움이 되는 반가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