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만한 심리학개론 ㅣ 만화로 만나는 한학기 교과서
임현규 지음, 이주신 그림, 김청택 감수, 월붓 구성 / 사회평론아카데미 / 202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교과서가 만화면 좋겠단 생각은 생각일 뿐이었는데 지금은 그렇지도 않은 듯하다. 대학 교양 과목으로 심리학개론 수업을 들으며 짐작과 달라서 놀라고 무척 지루했던 기억이 난다. 심리학을 배워서는 남의 심리는 고사하고 내 자신의 심리를 설명할 방법도 찾기 어렵겠다는 인상만 남았다.
그 이후로 특정 주제를 다루는 심리학 관련서들은 가끔 보았지만, 개론서를 다시 읽어 보는 건 처음이다. 그동안 발견하고 바뀌고 추가되고 좀 더 선명하게 정리된 이론들이 새롭고 뜻밖에 흥미롭다.
철학과 심리학이 대답해줄 지도 모른단 기대를 했던 질문들은 답을 얻지 못하고 일부는 잊어버리고 일부는 의미가 없어진 채로 세월이 흘렀다. 그 사이 대답은 다른 영역의 연구에서 제공되기도 했고 그렇게 심리학은 점차 효용을 잃어갔다.
그러다 뒤늦게 현장에서 오랜 임상 경험을 한 의사의 심리학서를 읽고 내가 판단하고 선별한 기준 자체가 상당히 협소했다는 생각을 했다. 무오류 무결점의 이론과 주장이 어디 있으며, 연구 분야에 사람들이 남아 계속하는 한, 시대에 상응하는 효용은 새로 생기게 마련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6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62.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63.jpg)
그래서 전공자들이 배우는 텍스트를 ‘만만한’ 만화의 형식으로 읽어 보는 일이 즐겁다. 그렇다고 텍스트가 적지는 않다. 기본적 개념 설명과 분류부터 최신 기법과 검사까지 총망라하는 책이다. 가이드하는 캐릭터가 김만능 ‘교수’라 한 학기 분량의 수업인 듯도 하다. 차근차근 열심히 공부하면 분명 개론서를 배운 학습 효과는 확실할 것이다.
그러니까... 내용까지 만만하기만 한 책은 아니다. 250쪽이라는 분량을 생각하면 엄청 공을 많이 들여 선별하고 채워 넣은 체계적인 좋은 책이다. 학문으로서의 심리학의 다양성과 깊이 모두를 느끼게 해준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6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6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6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68.jpg)
나는 심리학의 여러 분야들 중 가장 관심이 있는 분야들 - 지각심리학,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 - 과, 심리학이 사회에 제공하는 유의미하고 반가운 메시지들을 즐겁게 읽었다. 교과서라는 것을 잊지 말라는 듯 각 분야의 설명이 끝나면 문제들이 제공된다. 바로 직전에 읽었는데 성적은 만족스러울 정도로 좋지는 않았다. 세월무상......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6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7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71.jpg)
흥미 본위의 단편적인 심리학 내용들은 미진하고 그렇다고 학술서를 읽기는 지나치게 도전적이라고 생각되는 독자에게 접근성도 가독성도 유용성도 모두 좋은 책이다. 일독을 한 뒤에도 나는 여전히 대답하지 못하는 질문들이 더 많지만, 학습자에 따라서 효과의 폭은 다를 것이다.
결심을 다지고 잘 참아가며 버티는 일상에서 가장 지치는 기분이 자주 드는 목요일이다. 읽지 않은 만화가 있어서 즐거웠고, 심리학이라 덕분에 들끓던 생각도 기분도 점차 가라앉았다. 부디 읽고 배우고 알게 된 것이 일상과 존재의 변화들을 마중하게 되기를.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20/pimg_739190168327777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