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세상 밖으로 나가기로 했다 - 아픈 마음을 다독이는 동화테라피
하정희 지음 / 밥북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려와 돌봄을 전담하는 이가 늘 여성이라는 것에는 문제 제기도 고민도 저항과 거부도 거세다이렇게 복잡한 문제가 된 이유는 하고 싶은 사람들을 하라고 지원하고 독려하는 방식이 아니라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에게도 의무나 역할로 부가하고 강요하기 때문이다.

 

나처럼 눈치도 촉도 없고 의사소통의 가장 편하고 분명한 방식은 언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는 장기간의 훈련이 필요한 감수성과 공감 능력배려와 돌봄의 역할은 전담할 엄두가 안 난다살림육아요리는 생득적 능력이 아니라 다른 학습의 결과와 똑같이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는 일이다직업과 역할에 성별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타인의 처지에 잘 공감하고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이들은 여성의 비율이 더 높을 것이다그리고 고래로 경제적인 책임만이 아니라 가족의 심신을 돌보며 실질적 가장의 역할을 한 여성들의 능력은 유구한 세월 이어져왔다.

 

그러니 이 작품 속에서 14가지의 고민을 들어주고 비법을 활용해서 치유를 돕는 역할을 행복한 할머니가 맡은 것이 어색함이 없어 보이기도 한다아픔과 사연은 특이하지 않은 일상적인 것들이고 저자는 각 사연을 동화로 만들었다.

 

동화라는 형식은 사연의 담지자로부터의 안전거리도 확보하고 독자들의 심리적 부담도 덜어낸다아플 때는 현실이 서늘하고 세상의 색이 바래보이기도 하는데 동화적 상상력이 고민의 본질을 흐리기 보다는 사연에 색채와 온기를 더하는 듯하다.

 

죽을 것 같아서 비로소 상담이나 치료를 받으러 나서는 게 현실이지만이 책은 참고 참다 견딜 수 없어지는 시간의 끝 말고 그냥 힘들면’ 상담을 신청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현실 상담센터 센터장이자 상담심리 전문가로서 오랜 경험과 관심이 반영된 자연스럽게 말 거는 방식의 글이다공감할 사연들을 찾아 순서에 관계없이 읽으셔도 좋겠다.

 

부모화 Parentification : 부모와 자녀의 역할이 뒤바뀌는 경우성인이 된 자녀의 여러 가지 심리적 어려움

 

완벽주의 자신의 내적 기준에 따라 더 잘하고 최선을 다하려는 동기가 발동되는 적응적인 결과가 있고다른 한편으로는 타인의 비난이 두려워 애쓰는 완벽주의로우울증불안꾸물거림대인관계 문제 등의 부적응 적인 결과가 있다.

 

고민해서 일이 해결되는 경우보다 일을 시작하면 고민이 오히려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사회적 민감성Reward Dependence : 사회적 신호와 타인의 감정에 대한 민감성을 알아차리는 것사회적 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대체로 감수성이 높고 정서적 개방을 잘하며사람들과 친밀감을 잘 형성하는 특성이 있다.

 

신경성 폭식증의 가능성이 높은 급식 및 섭식장애Feeding and Eating Disorders

 

좋은 관계란 그저, ‘적당히충분히 좋은’ 관계면 족한 것.

 

폭식은 자기 자신을 처벌하는 오랜 습관.

 

슬픔과 상처 받은 감정은 느끼면 안 되는 것이 아니라있는 그대로 이해해주고 수용해주어야 하는 소중한 감정. “화가 날만 했구나그럴만했다.”

 

외상trauma : 평소에는 잘 경험하지 않는 정도의 극심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생명과 인간의 존엄성에 위협을 주는 사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