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이 쉼표를 넣은 곳에 마침표를 찍지 말라 - 인도 우화집
류시화 지음 / 더숲 / 2019년 12월
평점 :
널리 영향력을 미치고 많은 이들이 닮았으면 하고 바라는 일은 그렇게 되지 않는다. 인도의 인구수로만 생각하면 채식인구가 많은 것이 반가운 일이나 그 숫자가 무색하리만큼 축산 산업의 폐해를 엄청나다.
배출되는 메탄, 탄소량은 늘어가고, 사료 재배를 위한 토양과 숲의 파괴도 막을 길이 없고, 기아로 사망하는 인구는 버려지는 식재료를 만나볼 수 없다. 생물다양성은 이미 망했다 싶은 수치이다. 인간과 축산동물을 제외한 야생동물은 3% 내외이다.
이런 숫자들을 차치하고도 식재료가 되기 위해 태어나고 학대당하고 갇혀 살다 죽임을 당하는 동물들을 그냥 둬도 되는 걸까. 가격만 저렴하면 기쁘게 잔뜩 먹고 살아도 되는 걸까.
아무리 바라도 먹방은 줄지 않는다. 구독자수가 일정 정도만 되면 퇴직하고 전업으로 한다는데, 그만큼 자본이 모여드는 곳이라면 돈벌이로서의 먹방은 더욱 진화할 것이다. 이런저런 생각을 하며 귀가 사라질 듯 추운 날 반갑게 우화 속에 잠시 머문다.
네미 쿠마르는 수많은 동물들이 울부짖는 소리에 현실로 돌아왔다.
닭과 염소를 비롯한 동물들이 길가의 커다란 우리에 갇혀 몸부림치고 있었다. (...)
코끼리 조련사는 결혼식에 참석한 대규모 하객들의 음식을 마련하기 위해 그 동물들을 잡아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
“이 모든 동물이 정말로 나의 결혼식 대문에 죽임을 당한다는 말인가?” (...)
자신의 행복한 결혼식을 위해 신성한 생명들이 이유를 모른 채 죽임을 당해야 한다는 생각에 역겨움을 느꼈다. 주위를 돌아보았지만 누구도 그 사실에 대해 혐오감을 느끼는 것 같지 않았다. 모두가 즐겁게 웃고 떠들었다. (...)
‘생명을 죽이는 일에 이토록 무관심하기 때문에 아무렇지 않게 전쟁을 일으키고, 병자와 노인들을 내다 버리고, 온갖 잔인한 행위들을 하는 것이 아닐까? 모든 존재 안에 신성한 자아가 있다는 사실을 느끼지 못해 우리 자신도 파멸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아닐까? 다른 생명체에게 슬픔이나 불행을 안겨 줘도 되는 권리가 우리에게 있기는 한 걸까?’ (...)
네미 쿠마르는 오랜 명상과 금욕 생활 끝에 자이나교의 22대 티르탕가르(자이나교에서 영적 깨달음에 도달한 성자)가 되었으며, 그의 비폭력과 불살생 가르침으로 인해 인도 대륙에 채식주의가 퍼지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