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바운드 - 게임의 룰을 바꾸는 사람들의 성장 법칙
조용민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9월
평점 :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통찰을 살피는 일이 당장 유용한 툴을 찾아내기엔 적절한 방법이 아닐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어떤 문제이든 관련자들의 종합적인 상황과 더불어 사회 현상과도 다 관련이 있다는 생각도 든다.
뭘 하든 어쨌든 문제는 늘 발생하고 하나하나 해결한다고 목록에 써 둔 것들이 지워지고 말끔해지는 것이 아니다. 그러니 문제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바꾸는 일이 여러모로 현명하고 합리적인 일이다. 걸림돌은 그렇게 생각하고 움직이는 강력한 합의가 선제되어야 한다는 것. 대체로 이 단계에서 지치기 마련이다.
“제대로 된 이유 찾기, 정확한 위치에 피벗 꽂기, 사용자 친화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기, 이 세 가지 방법론을 익힌다면 문제의 근원을 정확하게 꿰뚫어보게 될 것이다.”
bind는 참 모욕적으로 느껴지는 단어이다. 말 그대로 직장에, 밥벌이에 목 ‘맨’ 처지가 곧바로 떠오르기 때문일 것이다. 제목은 이미 binding을 풀어낸 상태 unbound이다. 나로서는 unbinding이라면 더욱 혹했을 거란 별 중요하지 않은 생각을 잠시 했다.
3가지 중점 내용이 있는데, collaboration협업은 너무 당연하고 상식적이지만 늘 기본이고 중요한 가치이다. 관리능력과 리더십이 늘 언급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현실에서는 위계와 직위와 정책이 가장 힘이 세지만, 저자의 전 직장은 구글이다. 팔로워십에 대한 언급은 흥미롭다.
“구글에서는 "팔로우쉽"을 리더가 갖춰야 할 필수 덕목으로 본다, 팀을 이끌어야 할 리더에게 있어 팔로우십이란 구성원 각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그들이 제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진정한 성과를 창출하는 능력이다.”
deep thinking은 하고 싶지만 때론 정보의 부재나 부족으로 대부분은 매일 해치워야하는 일정에 쫓겨서 충분한 시간을 배려 받지도 제공받지도 못한다. 물론 현 직장에서 자아실현하고 끝까지 함께 한다는 계획이면 묵묵히 성실히 일하는 것으로 충분할 런지도 모르지만, 직장 내 삶이 나머지 삶보다 가치 있단 생각이 들지 않는다면 여러모로 중요한 고민이다.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과학자 중 한 명인 아인슈타인은 ‘똑같은 일을 비슷한 방법으로 계속하면서 나아질 것을 기대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다’, 격변기에 최대의 위험은 변화 그 자체가 아니라 과거의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
trendy savvy는 내게는 비교적 큰 관련이 없는 요인이기도 했다. 물론 데이터처리되고 저장되는 논문들에도 분명 트렌드가 있기 마련이지만, 저자가 설명하는 바는 <언바운드>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서 도전과 시행착오이다. 즉 현시대에 늘 시선을 두고 전문성을 갖춘 융합적인 사고를 통해 새로운 트렌드를 결합해서 상업적 성과를 만드는 일이다. 웅장한 프로젝트이다.
인생 한 방, 한탕주의, 먹튀가 농담도 드라마나 영화의 소재만도 아닌 한국의 현실에서, 직업의 본래 업무나 윤리가 무엇이건 알고 보니 끼리끼리 돈 가져가자! 였구나 싶은 추악한 면면이 줄줄이 달려 나오는 매일이다 - 그런데 반성도 없어.
이런 시절에 공공연히(?) 배워서 남 주자 하고, 인세 전액을 미혼모와 장애어린이 가정 지원금으로 기부한다는 저자의 책을 사지도 않고 선물 받아 감사히 읽어 본다.
“버틴다라는 것을 단지 생존을 위한 수동적인 방어자세로 이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내가 생각하는 버틴다는 즉 끈기는 오히려 가장 공격적인 방법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