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공부, 스스로 끝까지 하는 힘
김성효 지음 / 해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년 동안 이도저도 아닌 일정들로 혼란스러웠던 것도 같지만, 어찌되었든 일상은 이어집니다. 학년은 바뀌고 할 수 있는 일은 적응하는 것이지요. 우리 집에는 성적에 초연한 행복한 중3과 실수에 민감한 맘고생이 많은 초4가 있습니다. 두 분 모두 스펙트럼의 평균으로 좀처럼 들어와 주지 않으시지요. 


행복한 이는 걱정이 덜 되고, 자신이 모르는 문제가 하나만 있어도 몹시 괴로워하는 초4가 더 걱정이 됩니다. 면책을 하려는 것은 아닌데 공부 잘 해야 한다고 그런 류의 말을 한 어른은 아무도 없습니다. 아이의 성취욕과 집착은 학교에서 만들어진 것일까요. 


붙잡고 앉아서 직접적으로 물어 보고 적극적으로 해법을 찾으려고도 않으니, 아이가 문득 이야기를 꺼내고 싶을 때만 심정을 들을 수 있지요. 혼자 생각하고 정리하고 알아서 할 일이기도 하지만, 도움을 청하면 잘 대답한 준비도 필요하겠지요. 그런데 참 어렵습니다. 쓸데없이 복잡하게 생각해서인가요.


공부의 정체를 밝히는 것을 첫 번째 솔루션으로 대뜸 제시하는 당찬 책을 읽어 봅니다. 질문은 다섯 개인데 역시 쉽지 않습니다.


다행히 이 책에서 분류한 자존감 낮은 유형은 아닌 듯합니다. 학습 습관도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시험에 대해 ‘공포’가 있는 지는 궁금합니다. 저는 오전만 하고 마치는 기간이라 시험기간에 신이 났는데...


책상과 가장 정리 정돈... 생각보다 매일 하게 되지 않지요. 매일 깔끔한 것이 좋은 건지는 별개의 문제이지만, 저는 숙제 먼저 재빨리 하고 저녁 식사 전까지 신나게 놀 생각에 즐거웠는데, 요즘 아이들은 입장이 많이 다르기도 하지요.


과학체험이 생각보다 무척 즐거운 경험일 수 있는데, 판데믹으로 모두 중단입니다. 천문대 방문이란 간단한 체험도 하게 되지 않은 지가 오래입니다. 덕분에 VR 체험은 아주 지겹게 했습니다. 숲 체험은 마스크하고 마냥 즐겁기엔 힘든 일이기도 합니다. 가을이 깊어지면 좀 나아지려나요.


공룡에 사로잡히는 아이들이 많은 이유에는 특색이 확실한 공룡의 외양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자연사 박물관에 카피지만 실제 공룡 크기의 화석을 재연한 것은 다 알고 봐도 낯설고 기이한 인상 깊은 과학적 체험을 하게 합니다.


어제 공룡으로 하는 심리테스트를 해서 공룡 마인드맵이 반갑습니다. 이보단 훨씬 공룡 종류가 많지요. 이름으로 배울 수 있는 생물과 식생에 대한 재미있는 자료들이 많습니다. 지질학에 과한 최초의 감각을 익히기에도 유용합니다.


환경문제는 지구생태계 전체를 살피는 일이므로 공룡에 대한 관심이 인류세에 대한 지식정보와 관심으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내가 사는 공감을 가능한 확대해서 지구공동체와 더불어 자신의 정체성을 만들어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필요한 일이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