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에 끝내는 대화의 기술 - 일, 사랑, 관계를 기적처럼 바꾸는 말하기 비법
리상룽 지음, 정영재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어는 우리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 아니라 사고를 결정하고 최후에는 문화를 결정한다.” 

사피어-워프  심리언어학자



책의 내용보다 저자가 궁금해서 읽어보았다현재는 베스트셀러 작가영화감독기업의 CEO이고어릴 적에는 각종 말하기대회에서 수상을 했는데국방대학 -육사 비슷 에 입학했다가 자퇴하고 사교육 기업에 취직해 인기 강사가 된다.

 

기술보다 살아온 에세이를 잔뜩 들려주면 좋겠다 싶었는데아주 충실하게 관계와 장소목적에 따라 다른 말하기 방법들을 알려준다말하기에 관한 조언이 아직도 필요한가 나이가 민망해지다가도 어떤 주제든 모르는 게 늘 있는 법이란 걸 떠올리며 읽는다.

 

본인의 작은 실수에 자책하며 자신을 괴롭히는 것처럼 타인의 실수나 잘못을 용납하지 않는다. (...) 대화와 소통에는 관용의 자세가 필요하다.”

 

아무 생각 없이 혹은 대책 없이 상대의 의견에 무조건 동의해서도 안 된다. (...) 상대의 관점에서 합리적인 부분을 찾자역지사지는 소통의 기본이다.”

 

원하는 방식대로바라는 바대로 100% 실천하며 살 수 없다는 건 뭔가 부족하기 때문이고그에 대한 보충이 말하는 법에 대해 차분히 들려주는 책읽기라면 잘 해볼 수 있다말보다 글이 편할 때도 많고, 7:3 정도로 말하기에 에너지가 훨씬 많이 소모된다는 느낌도 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자신과 비슷한 가치관을 가진 사람을 고른다.”

 

누군가를 알고 싶다면 그가 하는 말로만 판단해서는 안 된다.”

 

회사에서 의견이 분분한 회의나 토론을 할 때에는 한없이 차분해지는데 가장 힘들고 돌발이 많고 어려운 것은 역시 사적관계에서의 언어생활이다서로가 서로를 조금씩 어려워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살짝 긴장해야 예의를 지키고 뜻밖에 쉬워지는 일들도 있으니까.

 

사람마다 개인적으로 민감한 주제가 있다.”

 

당연한 내용들도 많지만 대화와 소통에 대해 읽다보니 나의 말하는 방식이 생각을 차지하게 된다상처가 될 거란 생각을 하면서도 뾰족하게 굴었던한 차례 감정을 거르기 싫어서 목소리만 차분하고 아마도 다른 모든 것은 칼날처럼 느껴졌을상대에 관해 열심히 생각하지 않고 내가 아는 최선의 혹은 편안한 방식의 대화법을 고수했던 순간들.

 

직장은 복잡한 곳이다. (...) 협력의 핵심은 소통이다. (...) 모두가 자신과 같은 생각이라는 착각을 버려야 한다.”

 

소통은 예술이자 심리학이다. (...) 다른 뜻 없이 본인의 의견을 드러내 상대와 의견을 교환하는 것은 좋은 소통이 된다오해를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

 

왜 1시간에 대화를 끝내야 하는지 설득 당하지 못해 기술은 못 배웠다. 


거의 매일 무슨 말이든 하고 사는 삶이니 남은 시간은 좀 더 무해하게덜 민망하고 당황하며 살아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