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너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 이기고 싶은 사람들의 이기는 전략
박시영.김계환 지음 / 김영사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치 평론과 여론 조사 분석에 있어 박시영 대표의 선거예측이 적중률이 높다는 것은 알고 있었으나 저녁이 있는 삶이 공저자이신 김계환 캠페인 플래너의 작품이란 것을 몰랐다


유럽을 경험해본 분들은 당혹감과 함께 경험했을 삶의 양식이고 우리는 왜 이렇게 살 수 없는지 야근과 밤샘 근무를 치르며 서글픈 바람을 가져 본 직장인 누구에게나 깊은 울림을 주던 구절이다.

 

집권여당의 대선경선이 어제 시작되었다판데믹 상황에서 이만하면 선방이라고 하는 국정 분석도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잡아 수출 물량이 늘고 선진국으로 격상되었다고 하는 평가도 있다.

 

그 역시 통계적 진실이겠지만 나는 늘 숫자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진실이 더 궁금하다해가 지면 무섬증이 생길 정도로 거리가 한산해지고 상점가 공실이 늘어가고 단기비정규직계약직 알바를 두세 개 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도 엄중한 현실이다.

 

대선은 스타를 뽑는 인기 투표가 아니고 다년간의 국가행정전반적인 살림살이를 주도할 대리자들을 선출하는 것이다부디 다른 것 다 집어치우고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지가 잘 시험되길 바란다.

 

정치의 세계에서 인지도 호감도 지지도는 삼박자로 불린다일단은 알아야 하고이단은 좋아야 하고삼단은 찍어줘야 한다.”

 

미래는 내다보는 통찰력과 불확실한 변수돌발적인 상황까지 계산하며 섬세하고 유연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물론 늘 인상을 쓰고 심각하게만 살 수는 없는 노릇이니 가능하면 스트레스는 덜 받고 선거를 축제처럼희망과 기대를 품어 볼 행사로 경험하면 더 좋을 것이다.

 

시절에 딱 맞게 출간된 선거 맞춤 정치 서적에서 전략 분석가와 플래너 두 저자가 진지하면서도 오래 즐길 수 있는 어떤 전략적인 팁들을 줄지 궁금해서 기대를 많이 하고 읽었다.

 

코로나로 인해 가속화된 현실적 요구들이나 어차피 우리가 지향해야할 가치들에 포함된 것들이 정리되어 생각을 다듬어볼 수 있는 기회가 좋았다.

 

전국민 돌봄국가

세컨드잡세컨드라이프

디지털경제

교육혁명

 

주제들에 따른 여론조사 결과들을 읽다 보니 과문한 내게는 어떻게 움직여야할 지 무척 곤란해 보이는 결과들도 참 많다결단과 행정의 어려움을 새삼 느낀다가령,

 

중앙정부의 역할과 권력 강화를 찬성하는 의견이 60%, (...) 지방분권을 강화하고 공공의료를 강화자다는 의견이 80% (...)”

 

이런 건 어떻게 해석 가능한 것일까동일한 모집단에서 이런 의견 분화가 가능한가결과적으로 오류가 없다면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한 정책기조는 무엇이 되어야할까정치는 상식적이어야 하지만 상식을 뛰어넘는 아이디어도 필요할 때가 있다는 생각이 크게 들었다.

 

2020년 연말에 했던 조사 결과는 2021년 9월의 현실과 괴리가 있어 보이고, 20대 대선에 대해 예측해본 내용들도 이니 무용해진 것들이 보인다현실은 정말 숨 가쁘게 변화하고 있고이에 대응하는 것은 이제 생존과 한층 더 가까워진 문제가 되었다뭐든 새로 시작하기보다오래된 묵은 문제들을 열심히 해결해 주는 정책들을 바란다.

 

법과 재정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위기 상황에 처한 이들의 사회적 고충을 헤아리는 것이 정치라고 한다면 누가 어느 쪽이 좀 더 재량권을 발휘할 수 있는 가가 대중의 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 실린 저널리즘에 관한 신뢰하는 연구자인 정준희 교수의 문장들이 신뢰를 더한다.

 

"두 전문가는 가치를 지향하되 현실 진단에는 냉정함을 잃지 않는다. (...) 옳고 그름이 아닌대중의 인식과 투쟁하는 것이 정치다라는 책 속의 표현에 그 숱한 낭인들 사이로 유독 두 사람이 돋보이는 이유를 알게 된다.”

 

정치 대전선거가 시작되었다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와 대리자인 당선인들에게 위임된다. 5년에 한 번이니 유권자의 권리를 포기하지 말고 온전히 누리자.

 

정치를 경멸하는 대중은 경멸 받을 수준의 정치밖에 갖지 못한다고 말했다아무리 정치가 혼탁하고 실망스럽더라도 정치를 외면하거나 멀리해서는 안 된다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는 희망이 정치에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윈스터 처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