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직업으로서의 예술가 : 고백과 자각 ㅣ 직업으로서의 예술가
박희아 지음 / 카시오페아 / 2021년 5월
평점 :
이 책은 1, 2권으로 출간되었는데 그 중 ‘고백과 자각’에 인터뷰가 담기 예술가들은 내가 잘 알지 못하는, 그들의 예술 작품을 접한 적이 없는, 아마 그렇게 서로 지나쳐갈 이들이 더 많은 목차였다. 2권으로 먼저 읽고 싶은 조급한 마음을 참고, 모르기 때문에 더 먼저 찬찬히 읽자는 기특한(?) 생각을 했다. 목차를 보고 한 고민 덕에 아주 조금 철이 들었을지도.

인터뷰집은 자료 확보가 용이해서 마치 녹취한 내용들을 손질해서 모아 놓은 거라고 오해할 수도 있지만, 어쩌면 작가 한 사람이 자기 생각을 오롯하게 표현하는 것보다 어려울 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답변만이 아니기 때문이다. 답변을 할 가치가 있는 질문을 하는가, 가 책의 중요한 가치 판단이자 가장 치열한 출판의 시작이 아닌가 한다.
저자이자 인터뷰어인 박희아는 프리랜서 기자라는 점에서 예술가들과의 공감 접점들이 많을 지도 모르겠다. ‘프리’라는 말은 ‘예술’이라는 말은 듣기에는 그토록 달달하지만 직업으로서는 무시무시한 영역이다. 특히나 사회안전망이 약하고 얕은 한국사회에서는 ‘굶어 죽을 자유’에서 그리 멀지 않는 지점에 자리한 불안정 고용이다. 나는 저자 역시 한 사람의 예술가라 믿는다. 그래서 저자의 말에 한참 머물렀다.
“남의 이야기를 듣지 말고 네 글을 쓰라는 이야기를 자주 듣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화를 통해 함께 완성해나가는 글쓰기가 즐거웠다. 그래서 여기까지 왔다. 후회하지 않는다.”
고백을 통해 창작자도 작품도 모르던 이들의 내면을 들여다보았다.
이래도 되나 싶은 생각이 여러 번 스쳐갔다.
자각을 통해 예술가들이 인지하고 통찰한 현실과 현재를 함께 보았다.
전 존재를 부딪쳐 알아내는 ‘예술의 본질’을
이렇게 편안히 읽기만 해도 되나 싶었다.
“저는 그 누구보다 철이 들어야 하는 사람들이 배우들이라고 생각해요. (...) 옳고 그름의 문제에 대해 고민할 줄 알아야 한다는 거죠. 우리의 공연을 통해 누군가에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면, 나쁜 짓을 하는 모습을 보여줘도 ‘이런 행동을 하면 안 돼요’라는 설정이 들어가야죠. 그 나쁜 짓이 너무 화려해 보이면 안 된다는 거예요. (...) 관객분들이 돌아가는 길에 범죄에 박수를 보낸 것 같은 느낌을 받으시면 안 되잖아요.”
멋진 깡패들 영화가 더 이상 생산되지 않아 다행이다.
한 때 참 역겹고 걱정스러웠는데.
이 책을 읽은 덕에 잠시 안심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