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알래스카
안나 볼츠 지음, 나현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량도 소재도 주제도 말랑한 책이 아니다발랄하고 간결한 제목에 짐작한 이미지와는 많이 다르다.

 

총격을 수반한 끔찍한 강도 사건으로 망가진 부모의 상황주인공 파커가 갖게 된 세상과 남자 일반에 대한 증오심뇌전증이라는 질병으로 인해 발작에 대한 불안과 갖가지 안전장치로 살아가는 스벤이별하게 된 반려견학교생활사이버폭력사이버윤리인권 그리고 우정심리적 문제들과 사회적 문제들이 골고루 등장하며 청소년의 삶을 진지하고 다각적으로 들여다보는 작품이다.

 

한 가지만 해도 벅찰 문제들을 한 데 아우르는 작가의 역량에 수상 이력과 찬사에 납득하게 된다.



새 학기새로운 반낯선 사람들과의 첫 만남그 시작부터 긴장되는 분위기가 만만치 않다들키고 싶지 않은 뭐라도 낯선 이들에게 공개되는 일은 연령을 불문하고 끔찍한 악몽과 같은 일이다하물며……


위에서 언급했듯이 쉬운 거 하나 없는 환경과 조건 속에서 살아온 파커와 스벤의 시선들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니농도가 무척 짙고 앞으로의 한 걸음이 무겁다.

 

아이들은 어른들도 세상도 못 마땅한 것은 물론이고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불안한 심리가 강해서 한 문장 한 문장 아이들의 심리가 묘사된 글을 읽을 때마다시동이 멈춘 차를 밀어서 이동시켜야할 듯 마음이 힘겨웠다


언제나 효과가 별로라고 시큰둥해하긴 했지만꾸준히 묵묵히 도움을 청하는 이들을 돕기 위해 심리치료 등 관련 분야를 연구하고 시행하는 분들 생각이 잠시 떠올랐다어렵고 효과가 적고 느린 것이 당연하다.

 

깊이 침잠한 듯한 감정적인 내용들이 많지만독자는 일부러라도 시선을 띄워서 이들을 객관적으로 끝까지 바라보며 읽어야할 의무가 느껴지기도 했다상처투성이라는 공통점만 빼면세상을 이해하고 바라보는 눈은 전혀 다른 아이들이 교차 등장하기 때문이다그들의 눈에 당연히 세상은 비뚤어지고 기울어져 있다.

 

자신으로부터 비롯한 일도 아니고 자신의 잘못도 아니지만자신들이 처한 조건들을 모두 자신의 치부라고 여기는 아이들움츠려든 마음의 모양이 떠올라 가만 토닥여 주고 싶었다일부러 만든 일이 아니라지만어른들이 저지른 일의 대가를 아이들이 무겁고 오래 지고 가는 모습은 참 보기 힘겨운 장면이다


그러니 이런 뾰족한 아이들에게 깊은 관계를 맺고 애정을 느끼는 반려견이 존재한다는 것은 시원한 공기를 몸 속 깊숙이 들이마시는 것처럼 참 다행한 일이고 어른이인간이 하지 못한 효과적인 치유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그렇게 믿고 싶다현실에서도.

 

반려동물은 인간을 분석하고 비교하고 평가하지 않으니까그 관계 속에서만은 파커도 스벤도 인간들의 빠른 평가를 내리는 시선들 속에서부터 자유롭게 맘껏 자신으로만 존재하고 감정을 나눌 수 있으니까.

 

안녕알래스카우리 인간이 맘껏 사랑할 수 있게 먼저 사랑해줘서끝까지 사랑해줘서 고마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