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절과 기분
김봉곤 지음 / 창비 / 2020년 5월
평점 :
품절
과거의 어떤 장면과 기억은 그다지 중요한 일이 아니었음에도 선명한 경우가 있다. 다른 모든 중요하고 심각한 것들은 다 잊어버렸는데 유독 그 한순간이 사라지지 않고 자꾸만 소환되는 경험이 있다. 이 책의 도입부가 그렇게 너무나 사소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시작되어 나는 한동안 별 그리움 없이 잊고 살았던 시절이 자꾸만 떠올랐다. 마치 일기를 공개한 것처럼 섬세하면서도 중요한 모든 것은 그렇게 사소하면서도 특별한 둘만의 교집합이라고 말하려는 것처럼 이 소설의 이야기는 브레이크 없이 순식간에 흘러간다. 아끼며 천천히 녹여 먹듯 읽고 싶었는데도 말이다.
어쩌면 살면서 얼토당토않은 상대에게 급작스런 감정을 느끼게 되거나 더 나아가 고백까지 하게 되는 혹은 받는 경우들이 있다. 당사자로서는 그런 상황 자체가 버겁게 마련이라 상대를 살필 여유가 없을 수도 있지만, 생각해보면 첫 인상 말고는 아무 것도 알지 못하는 상대와 세상에서 가장 가까운 사이가 되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무모함은 무엇이었을까, 신비롭고도 참 강렬한 한 시절이라는 생각이 든다.
첫눈에 반하는 것을 믿는 이들도 있지만, 나는 아주 잘 아는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타입이라 모험적인 그 세계에 대해서는 사실 할 말이 거의 없다. 자기 자신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자신일 수밖에 없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너무 잘 알기 때문에 내 자신이 끔찍하게 싫다고는 생각해 본 적이 없다. 마찬가지로 타인에 대해서도 잘 알기 때문에 비로소 특별한 감정이 자라나게 되는데, 이런 나를 변호하는 구절을 오래 전 <비포선라이즈>를 통해 들으며 안심한 기억이 난다.
네가 아까 커플이 몇 년 동안 같이 살게 되면 상대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고 또 상대의 습관에 싫증을 느끼게 돼 서로를 싫어하게 된다고 했잖아.
난 정반대일 것 같아. 난 상대에 대해 완전히 알게 될 때 정말 사랑에 빠질 것 같거든.
나는 혜인이 좋은 이유를 한 열가지는 숨 한번 쉬지 않고 말할 수 있었는데, 사실 고민하고 말 것도 없이 나의 마음은 예스였다. 하지만 나는 생각 좀 해볼게,하고 우물거리고 말았다. 누군가에게 고백을 들은 것도 누군가의 첫 연인이 되는 것도 처음이었으며, 무엇보다 연애나 사랑 같은 건 먼 훗날의 것이었지 그게 내 것이 될 거라고는 단 한번도 상상해본 적이 ㅇ벗었기에 나는 시원하게 좋아,하고 말해줄 수 없었다.
소리 내지도 못하고, 어깨를 마음대로 들썩이지도 못하고, 그저 8절 문제지 위에 펜을 쥔 자세 그대로 흐느껴 울고 있었다. 그러니까 나는 그 모습에, 그 모습을 보고 내가 느끼는 지금 이 감정이 사랑,이라고 확신했다. 이건 명백해, 백 퍼야, 저 머리띠가 조금만 더 고급이었어도 이건 사랑이 아니었을걸? 나는 격렬하게 요동치는 가슴 대신 혜인의 손을 붙잡고 열람실을 뛰쳐나왔다.
물론 사는 일이 서글프게 느껴지는 것은 바로 그 상대, 가장 가까웠던 존재가 어느 순간 멀게,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내가 어제 발을 담근 이 강물은 오늘 이 강물과는 다르다고 한 철학자를 소환할 필요도 없이, 매순간 변화하는 것이 살아있는 모든 존재의 유일한 실재성이라 결국 아무도 서로를 지속적으로 알 수는 없는 일이다. 당연하다. 그렇지만 얼마나 잘 이해하는 가와는 별개로 여전히 슬픔과 쓸쓸함은 남는다.
그때-그곳이 지금-이곳과 너무 비슷하거나 달라졌을 때, 내 속에서 무언가가 솟아나곤 했으나 이제 원기억마저 희미해진 이곳에는 겹쳐지는 것도 길어낼 것도 그 어떤 것도 남아 있지 않았다. 나도 이제 그때,가 떠오르지 않는 나이가 되었구나.
‘세월이 금방’이라는 말은 듣는 즉시 이해가 되었지만 뜯어볼수록 참 이상하고 오묘한 말이었다. 그리고 그 말을 곱씹자 가슴 안쪽을 고운 사포로 긁어내리는 기분이 들어 정말로 가슴을 쓸어 만졌다.
관계 속의 나와는 별개로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무척 유쾌하게 풀어내고는 있지만,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꼭 그래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자신을 드러내는 일이 무척 힘겨웠을 것이다. 진심을 속속들이 짐작할 순 없지만 어쩌면 그렇게 자신을 그대로 온전히 풀어 주었기 때문에 글 속에서나 대화 속에서 이토록 자유로워질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나는 대부분의 모든 사람과 연락을 끊었고 고맙게도 시간과 거리가 나를 대신해 끊어주기도 했다. 듣기 싫은 소리를 듣기 싫었고, 껄끄러워지고 싶지 않았고, 화내고 싶지 않았기에 나는 내가 없어지는 쪽을 택했다. 내가 선명해지는 동시에 내가 사라지는 기분은 아주 근사했다.
때론 우리는 마치 진정한 사랑이란 목숨까지 아깝지 않다고 자신을 온통 쏟아 부을 정도의 모성애나, 열병처럼 격렬한 성애로 치닫는 이성애 혹은 동성애만을 해당 범주에 공식적으로 올려 주곤 한다. 하지만 이토록 이성애로 조건화되고 끊임없이 의식화되고 한편 강요받는 사회가 아니라면 사랑은 딱 한 가지 정체성과 합치하는 감정이 아닐 확률이 높다. 이 이야기 속의 주인공은 이 모든 조건화된 환경 속에서도 더할 수 없이 자연스럽게 내가 사랑이라고 느낀 모든 것이 진짜 사랑의 감정이었다고 말한다. 단지 내용에 몹시 이끌려서가 아니라 그 편이 훨씬 더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느껴진다.
어쩌면 작가는 <시절과 기분>이라는 제목에 사랑이란 그렇게 다양한 것이라는 말을 이미 했다고도 볼 수 있다. 무척이나 아름다운 시절의 흐름에 따라 느껴지는 기분들.
조금은 서글픈 기분 속, 여전하게 뛰는 이 심장이 가리키는 바가 무엇일까 나는 생각했다. 중략. 오랜만인지, 처음인지 알 수 없는 고동이 기차가 내는 착, 착 소리와 함께 반복되었다. 그건 어떤 과거의 회한으로 뻗어나가 겨울날의 술집으로 데려가기도 했고, 가본적 없는 미래의 풍경으로 도약해 가닿기도 했다. 대부분 슬펐지만 어떤 것은 너무 생생해 정말 그럴 수 있을 것 같았고, 나는 대체로 외로웠지만 그럼에도 문을 열었을 때 언제나 누군가가 있다는 사실에 순전하게 기뻐했다.
슬픈 것과 사랑하는 것을 착각하지 말라고, 슬픈 것과 사랑하지 않는 것을 착각하지 말라고 생각했고, 아무여도 아무래도 좋을 일이라고도 잠시 생각했다. 상상만으로 이미 나는 다른 사람이 된 것 같았지만, 가능 세계를 그려보는 일이 예전만큼 즐겁지 않았다. 내가 된 나를 통과한 사람들, 슬픔과 불안에서만 찾아왔던 재미와 미(美) 역시 내키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
뛰는 심장의 무늬를 구별하고 싶지 않았다. 어떤 답을 찾고 싶지도 않았다. 그저 열차가 멈추기 전까지 이 진동이, 흔들림이 계속되기만을 간절히 바랄 뿐이었다.
문득 아직 심장이 잘 뛰고 있는 걸까하고 심장자리에 손을 얹고서야 안심을 하곤 하는 요즘의 나는 주인공이 느끼고 있는 뛰는 심장이, 흔들림이, 진동이 부럽기만 하다. 구축한 일상을 단번에 날려버릴 과감한 행동으로 이어질 여지가 섭섭할 만큼이나 전혀 없으니, 그 이유도 답도 괘념치 않고 그런 기분을 느껴보고 싶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