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에서 도착한 생각들 - 동굴벽화에서 고대종교까지
전호태 지음 / 창비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별 관심 없는 듯이 한차례 휙 구석기 전시실을 둘러본 진석이 아직도 주먹도끼 무리 앞에서 얼쩡거리는 내 곁으로 왔다. 

  

첫 문장을 읽으면서 반가운 웃음이 나왔다. 우리 가족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산책하러 가면 늘 벌어지는 장면이다. 우리 큰 꼬맹이는 늘 비슷한 위치에서 비슷한 유물을 어떤 재미난 상상을 통해 보고 있는지 다 보는 것에는 전시 속도에는 전혀 관심이 없이 몇 개의 유물 앞에서 거의 모든 시간을 보낸다.

  

목차를 보고 상상한 내용과는 너무나 재미있게도(?) 달랐다. 표준적 형식의 사상서도 철학서도 역사서도 아니고, “응? 고대인들이 진짜 이런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들게 만드는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문체 또한 아버지가 아들에게 알려주는 형식이라 술술 읽힌다. 이에 더해 독자의 상상력만 활발하게 작동해 준다면 아주 재미있게 집중할 수 있다. 특히나 명칭 암기를 정말 못하는 나로서는 그런 류의 정보들을 제때 숙지하지 못하면 내용 파악에 자꾸 제동이 걸리는 건 아닐까 염려가 앞섰는데 다행히 그 능력은 요구되지 않는 글이다. 기쁘다!! 그보다도 당시에 살았던 그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통해 살아남고 살아갔을까. 결코 경험해볼 수 없는 시대를 1인칭 시점이라는 기발한 아이디어로 맘껏 상상해볼 수 있게 마련해준 무대가 이 책이다. 

 

사실 선사시대와 지금을 비교하면 논리적 전개 과정이 더 복잡해진 것 말고는 사람이 세상을 보는 눈, 우주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방식이 질적으로 얼마나 크게 달라졌는지 나는 확신하지 못한다. 5

 

Stories are all we have.


선사시대는 현재와 문명적, 기술적 차이가 아주 커. 그러나 이것이 현대인이 선사시대 사람보다 인지적으로 앞섰다는 걸 뜻하지는 않아. 현대인이 인지적 깊이에서는 오히려 대단히 원시적일 수도 있어. 탐욕과 편견에 깊이 물든 현대인이라면, 그 사람은 오히려 선사시대 사람보다 더 야만적인 존재일 수도 있지. 19


뇌과학자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수치스럽게도(?) 인간의 뇌는 선사시대보다 그리 더 진화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혹은 그래서인지 인류 문명 - 과학을 포함한 모든 업적들 - 에 대해 실은 우리가 가진 것이라곤 그 중 가장 말이 되는 듯한 그럴 듯한 이야기들뿐이라는 다소 자조적이지만 진실에 가장 가까운 말이 있다. 그런 이야기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인간만이 가진 상상력, 그리고 그 상상력을 믿는 힘이라면 이 책을 통해 그 상상력이 구체화되는 과정을 잘 볼 수 있다. 특히 종교의 대상으로서의 믿음이 점차 현실화되는 과정이 나에게는 몹시 흥미로웠다. 

 

그러한 내용의 갈피는 아무래도 이 책을 완독하면서 맛을 조금씩 음미하는 수밖에 없을 듯하다. 분량이 많다고 벅찬 것은 아니다. 마치 우리집 꼬맹이들이 더 어릴 적에 내가 이렇게 말해줄 능력이 있었으면 재미난 대화가 되었겠다 싶은 말투이고 내용이다. 학생들을 가르쳐본 이들은 누구나 동감하겠지만 자신이 아는 것을 누구나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로 바꿔 정확하게 전달하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저자의 대가다움이 나는 이런 짧고 쉬운 문장들로 이어가는 대화들 속에서 느껴진다.

 

저 짐승들이 지닌 강한 힘, 뛰어난 능력을 누군가가 주었다면 그건 누굴까? 게다가 하늘의 별, 어디선가 불어오는 큰바람, 갑자기 쏟아져 내리는 비는 어떻게 된 거야? 이 세상에는 사람과 짐승 말고도 뭔가 더 있는 것 아닌가? 땅에서 하늘로 올라가는 불, 소리를 내면서 번쩍 거리는 저건 어디서 나온 거지? 저것도 누가 만든 거 아냐?

  

이런 의문이 쌓이고 쌓이다가 찾아낸 답이 ‘신‘아니었을까? 신이 있어서 만물에 능력을 주고, 사람은 이해할 수 없는 신비한 현상을 일으키는 거지. 자연에서 보고 겪는 위대한 힘이 모두 신의 손길에서 나온다고 보는 거야. 짐승이 지닌 이상한 능력, 특히 하늘을 날아다니는 온갖 새들을 신이라는 존재와 연결하는 거지. 신이 돕지 않으면 어떻게 하늘을 날아다니겠어? 이런 식으로 묻고 답하는 거야. 34

  

취향이라는 것은 의외로 일관적인 부분이 있어서 나는 늘 통시적 관점을 가진 역사서를 선호하는 편이었고, 그 점은 젊은 적에는 그저 독서취향이었으나 나이가 들고 지적 능력이 비가역적으로 쇠퇴해짐에 따라, 한 번씩 신체건강검진을 받는 일처럼 적절한 순간에 사고의 얼개를 배열하고 정돈하고 연결시켜 주는 의학적 도움처럼 느껴진다. 그럴 때마다 머릿속이 조금은 환해지고 시원해지면서 이런 많지 않은 순간이 독서의 보람이라고 느낀다.

  

“깨는 것과 갈고 벼리는 것 사이에 시대의 경계가 그어졌다.” 50

  

물론 이 시대 구분을 지나 이후 청동기 시대 이후 무기와 연장은 보다 복잡한 지배/피지배 관계를 성립시켰고, 생산방식과 체계 전체를 공고히 하여 일반화시켰고, 전쟁의 규모를 키우고, 제국의 출현을 가능하게 되었다. 이때쯤 되면 제국의 강인한 영웅 스토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중 하나는 아마 이름은 다들 들어봤을 주몽 신화이다. 그리고 강력하고 무시무시하고 불가역적인 철기.

  

철기는 사람들을 강하고 자신있게 만들었지. 쇠로 된 농기구를 지니게 된 농부는 농부대로, 쇠로 된 무기를 갖게 된 전사는 전사대로 자연의 수목과 짐승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났어. 중략. 사람들은 자연에서 나는 것은 무엇이든 다룰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지. 181-182

  

대화체는 접근하기에 쉽지만 서술의 체계성을 기억하기에는 더 복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대목마다 전제가 되는 것이 내가 고대인이라면?이라고 상상해보는 일이 많으니 그 방식이 재밌는 이들은 즐기며 읽기 참 좋은 책이고, 창작소설이나 에세이적 분위기보다 진중한 역사서를 원하는 이들에게는 생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구분이 이 책의 내용이 근거없는 추정과 상상이라는 말은 전혀 아니다. 

  

500쪽이 넘는 분량이지만 재미있게 잘 읽히는 이 엄중한 시절의 무거움을 잠시 잊게 해주는 반가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