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묘사된 세계는 아마 몇 해 전이었다면 확실히 SF의 배경으로나 가능할 듯 하다고 생각했겠지만, 놀랍게도 더 이상 아주 먼 미래의 일들처럼 더 이상 느껴지지 않는다. 우주탐사, 유전자조작태아, 행성 간 이동, 외계 생명체, 빅데이터와 유사한 망자들의 생애정보 데이터 수집. 이런 기술적용 사회의 모습에 익숙해진 한편 동시에 등골이 서늘하고 섬뜩한 기분이 드는 것은 기술만 진보하고 인간사회의 규범과 규칙들은 근대적이지도 현대적이기도 못한 경우들이 많다는 점이다. 이런 비동시성의 최악의 결합 상태에서 가능한 온갖 비극들이 무척이나 파괴적일 것 같다는 생각이 나 혼자만의 비극적, 부정적 망상으로 그치기를 진심으로 바랄 뿐이다.

 

글 속에서도 마치 현실의 분단과 이산처럼 어처구니없는 순간의 계획차질이나 책임부재로 인한 생이별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런 이들이 얼마나 많은 지와는 무관하게 우주연방은 경제성이 떨어지는 일로 분류된 후속대책을 외면한다. 그러한 정책의 후진성과 천박한 결론은 행성 간 이동이 가능한 기술현실의 영광을 급격하게 쇠락시킨다. 공간을 확장해서 인류가 가 볼 수 있는 우주의 외연을 아무리 확장하더라도 그것이 경쟁을 줄이고 우주적 인지를 계발하는 것이 아니라, 몇 백 년 동안 사이비 교주처럼 받들어진 ‘경제성’을 이유로 다시 괄호 밖의 인간들을 남겨두고 내다버리고 격리하는 행위로 이어진다면 그때의 우주 시대는 어떤 가치와 의미를 가지는지.

 

경력단절과 독박육아로 인해 우울하고 냉정하고 자식에게 상처를 입히기도 하는 여성들의 모습, 백인이 아니고 남성이 아니고 기혼자가 아닌 인간이 우주비행사로 선발되어 겪는 최악의 마녀사냥과 같은 상황. 이쯤 되면 우주공간의 확장과 인간의 지성이나 의식은 전혀 무관한 일이 되고 만다. 아마 그런 비극적 모습이 실제 미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아마도 작가는 그렇게 되지 말자고 자신의 책에서 한편으로는 경고를 한편으로는 독려를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소설을 읽으며 드는 현실감에 우울하다.

 

그렇다면 인류는 가능한 최선의 유토피아를 구현하는 일에 목적성을 두고 진화해야만 하는 것인가. 물리학을 전공하거나 관심이 있는 분들은 이미 다 아실 것이지만 우주는 ‘무의미한 공간이다.’ 별이 되지 못하고 행성인 지구는 우주 어느 곳에서 눈에 띌 가능성이 전혀 없으며(암흑 공간 속에 위치해서 그냥 간단히 안 보인다.), 태양계는 현재 망원경 기술로 알아낸 것만 수천억 개가 더 있고 우리 은하계 이외의 은하계도 현재까지 1조개가 넘는다. 매일 태양과 같은 별들이 생성 소멸을 거듭하고 있고, 우주 시간에서 지구 따위, 인간 따위 아무 의미도 없다. 미안하지만 이건 사실이고 그러니 가능한 겸손하게 사는 것이 제일 좋은 윤리적 판단이라 생각한다.

 

그래도 저자는 지구를 그리워하고 대안이 있어도 지구에 남기로 선택하고 부정적인 감정들을 돈을 지불하고 구매하는 이들을 등장시킨다. 어쨌든 현재, 여기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자 최대라고 매일 조금씩 더 흉한 곳을 고치고 망가진 곳을 다듬고 그런 매일의 현실이 바로 그 순간을 살아가는 미약한 인간의 유토피아라고 말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인간에게 비춰지는 것들이 부정적이고 흉한 것들만이 아니라 다정하고 따뜻하고 긍정적이고 아름답고 다채로운 것들도 있다는 것을, 언어적 소통으로는 실패한 역사가 더 긴 인류가 비언어적 방식으로는 어쩌면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법을 배울지도 모른다는, 그래서 어쩌면 우주에 존재하는 외로움의 총합이 늘어나지 않는 세상이 될 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한다. 열역할 제2법칙을 진리로 따르는 나로서는 언제나 모든 방식의 무질서도가 증가하는 한 방향으로만 모든 존재들과 사건들이 일어날 것이고, 우주 규모의 기적적인 에너지 수축과정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우주의 모든 존재들은, 우리 모두는 점점 더 멀어지며 차가워질 것이다. 마지막 체온이 사라지고 빛이 사라지는 그 순간이 존재의 소멸이다. 우리는 36.5도로 천천히 타들어가는 연료를 생명의 동력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주에 경계, Boundary가 있느냐 없느냐의 질문을 만나 헤어날 길 없는 혼돈에 머물다 죽을 운명이 된 시점 이래로, 나는 더 이상 외‘계’인의 존재 유무에 대한 질문이 무의미하다고 느꼈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가 ‘그 한 점’에서 방출된 CHON(탄소, 수소, 산소, 질소)가 분해되고 결합하기를(인간의 언어로는 죽고 살기를) 반복한 별들의 또 다른 결합체라면, 나의 존재는 순식간에 우주 전체로 확장되기 때문이다. 어느 별에서 잠시 살았나,는 더 이상 가치 있는 질문이 아니게 된다. 심지어 우리의 나이는 우주의 나이와 동일하며 우리의 육체 또한 우주의 크기와 동일하다. 그래서 더 이상 외롭지 않은가... 그건 아니지만.

 

자꾸만 횟수가 줄어가는 밤하늘 별보는 일을 좀 더 의식적으로 힘써서 해야겠다는 생각이 새삼스럽다. 반짝반짝 작은 별이 예뻐서만은 아니다. 자꾸만 남들도 다 아는 이야기를 지루하게 다시 하는 건 아닌가 슬슬 두려움이 강해지지만, 어쨌든, 우주의 실제 모습은 밤하늘의 모습과 유사하다(천자문의 첫 구절, 천지현황. 나는 이 구절에서 왜 하늘이 검은 것이냐고 가능한 모든 어른, 선생들에게 질문을 했고 학창시절 내내 답을 듣지 못했다. 물리학을 전공하고 천체에 대해 배우면서 비로소 이 구절이 이해되었고, 그 시절 이 모든 것을 알고 있었던 이들을 무한히 존경하게 되었다). 그리고…… 듣기 싫거나 믿기 싫을지도 모르지만 ‘빛은 단지 어둠이 잠시 부재한 상태일 뿐이다.’

 

그래서 나의 시선에 들어오는 별의 개수가 3,000개 정도 된다면, 그 별들의 거리가 모두 다르다면,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광속거리가 4년이니, 우리가 밤하늘을 바라보는 순간 우리는 빅뱅의 초기부터 4년까지 우주의 전 역사를 눈에 담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천체관측을 할 때마다 욕심이 슬몃 스며들기도 한다. 단지 겸손해지는 것 말고도 유레카는 비교도 안 될 대단한 깨달음이 오면 좋겠다.

 

모두가 기피하는 물리학을 전공하고 전공내용이나 시기와 무관하게 거의 모든 새로운 내용들을 팔로우하며 지극히 사랑하는 독자로서 도저히 피할 수 없는 매력적인 제목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가진 책에 기대보다 깊숙하게 흔들려 책을 읽는 내내 기분이 참 좋았다. Let there be light!

 

김초엽 작가에게 진심으로 경애의 마음을 보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