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비나스와 사랑의 현상학
우치다 타츠루 지음, 이수정 옮김 / 갈라파고스 / 2013년 12월
장바구니담기


텍스트에는 통상 ‘받는 사람’이 있다. 내가 텍스트를 읽었을 때, 그 ‘받는 사람’은 우선 나 자신이다. 내가 읽을 필요가 있는 텍스트는 그 ‘받는 사람’에 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받는 사람’에 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그런 책은 아마도 읽을 필요가 없는 책이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어떤 책이 자신에게 보내는 것인지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방법이 있다. 학술논문의 경우, 어딘가 ‘잘 알려진 대로’라는 말이 있고, 그 뒤에 ‘내가 모르는 것’이 쓰여 있는 경우는, 그것은 ‘내가 모르는 것이 잘 알려진 그런 세계의 주민’에게 보내는 것이다. 물론 세상에는 다른 사람에게 온 편지를 읽는 일이 좋다는 사람도 있고, 자기에게 보내는 것이 아닌 책에서 희열을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런 분은 그냥 그렇게 하셔도 좋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경험적으로 말해, 레비나스뿐만 아니라 무릇 텍스트를 읽을 때, 읽는 사람은 어딘가에서 ‘나’임을 그만두고 그 텍스트에 고유한 ‘지(知)의 주파수’에 동조하고 마는 때가 있다. 그럴 때의 상태는 ‘내가 텍스트를 읽고 있다’기보다 ‘텍스트에 따라 나 자신이 조율되고 있다’는 것에 가깝다.

아름다운 대답 따위 아무것도 아니라는 걸 도대체 언제가 되면 알겠는가. 모르겠는가. 속임수 이외의 아무것도 아니란 말이야. 인간의 알맹이가 정해지는 것은 그를 불안케 하는 것에 의해서지, 그를 안심시키는 것에 의해서는 아닌 게야. (……) 신은 움직임을 의미하는 것이지, 설명을 의미하는 건 아니니까 말이야.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서가 아니라 ‘수수께끼를 심화시키기 위한 에크리튀르(글)’

주해란 비인칭적인 지적 눈길 아래서, ‘영원의 상 아래서’, 조용하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거의 ‘아전인수’적이라고 말해도 좋을 만큼 구체적이고, 고유하고, 생생한 해석자의 현실에 바탕해 진행되는 것이다.

‘지향한다’는 동사로부터 우리는 ‘목표를 향하고 있으나 도달해 있지 않다’고 하는 부달성, 피아의 현격이라는 함의를 길어내지 않으면 안 된다.

‘시선은 죽이고, 노래는 살린다.’ 이것은 모리스 블랑쇼가 사랑한 오르페우스 이야기의 주제이다. 관조적 지향작용의 근본적 난점은 그것이 무언가를 ‘죽인다’고 하는 점에 존재한다.

에로스의 근본에는 향유나 권능의 어법으로는 다 말해질 수 없는 것이 있다. 그것은 근본적인 수동성이다. (중략) 자기 자신에 의해서는 자기를 기초 지울 수 없다고 고백하는 것, 자신의 기원이 자신 안에는 없음을 받아들이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의 맛, 규슈를 먹다 - 밥 위에 문화를 얹은 일본음식 이야기
박상현 지음 / 따비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은 돈카쓰, 카레, 돈코쓰라멘의 역사를 알고 싶은 마음은 없었다. 또한 요식업을 부흥시키는 마케팅 기법에 관한 이야기도 흥미롭진 않았다. 그러나 규슈라는 지역의 지리와 역사를 충분히 활용한 요리 아이디어들은 나를 좀 들뜨게 한 부분이 틀림없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플리스트 - 복잡한 문제를 단순하게 해결하는 인재
장성규 지음 / 리더스북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핵심에 집중하는 것이 `유연성`을 낳는다는 말은 내게 필요한 것이었다. 내 경직성의 원인은 바로 핵심에 `충분히` 집중하지 못한 결과치라는 걸 바로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내장 - 백내장 제거 수술 이후의 몇몇 단상들
존 버거 지음, 장경렬 옮김, 셀축 데미렐 그림 / 열화당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빛은 영원한 `시작`으로 존재한다. 어둠은 시작에 앞선 `전주곡`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빛이 막 움트는 무렵에 일어나는 놀라움에 관한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르고숨 2014-01-19 2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이쿠야, 그렇단 말씀이죠. 보관함에 오래 들어 있던 책이었는데, 햐- 좋아요. 드림아웃 님도 '밑줄긋기' 해주세요, 책 맛보기 역할을 톡톡히 해줌을 비로소 알겠네요.

dreamout 2014-01-22 09:32   좋아요 0 | URL
존 버거의 책은 늘 제게는 최고여서요. ^^
밑줄긋기. 네. 그렇죠.
조금 긴 글은 소설 정도로 한정짓고, 소설 외 책들은 100자평 정도로 하는게 낫지 않을까.. 요즘 그런 생각이 들어서 앞으론 100자평과 밑줄긋기가 늘 것 같긴 해요.

다락방 2014-01-23 16:18   좋아요 0 | URL
이런 댓글은 완전 생뚱맞지만, 여기에 제가 좋아하는 두 분이 다 계셔서 완전 좋네요!!
>.<

dreamout 2014-01-24 00:48   좋아요 0 | URL
다락방님. 퍼스나콘이 아주 인상적이네요!!! ^^
 
무엇 What? - 삶의 의미를 건저 올리는 궁극의 질문
마크 쿨란스키 지음, 박중서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음표로 끝나는 문장들. 그 문장들을 읽어가다보면 중요한 것은 그로 인해 파생된 생각이나 책의 마지막 결론이 아니라, 그저 읽는다는 행위 자체라는 생각이 든다. 내 안의 복잡한 생각과 감정을 시원하게 밭갈이 한 기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