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각형의 신비 - 네모난 틀 속의 그림이 전하는 무한한 속삭임
시리 허스트베트 지음, 신성림 옮김 / 뮤진트리 / 2012년 4월
평점 :
1.
베르메르의 <진주 목걸이를 한 여인>과 고야의 <1808년 5월 3일의 처형>에서 기존의 미술평론가들이 보지 못하던 것을 저자가 발견했다는 인터넷서점의 소개글을 보고 읽었다. 그림 하나를 두고 10분이면 오래 보았다고 생각하는 내 앞에, 두어 시간을 보통으로 바치는 사람이 여기 나타났다. “테두리는 그림의 경계와 규모를 결정하기 때문에 그 안에 존재하는 이미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라는 말부터 마음에 들기 시작했지만, 정말 인터넷 소개 글처럼 베르메르와 고야의 그 유명한 작품들에서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찾아낸 저자의 관찰력과 통찰력에 내내 감탄했다. 하지만 탄복하는 마음에 의례 따라다니는 거리감은 거의 안 생겼다. 현학적인 용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진지하게 자신의 느낌과 생각들을 추적해 나가는 저자의 모습이 눈에 들어오는 듯 했다. 배우는 자세고 그림을 보는 그 행위 자체를 즐기는 자세다. 하나의 그림 앞에서 느낀 것들을 언어로 풀어나간다는 것은 그것 자체가 도전인 법. 차근차근 진지하게 그러면서도 독자의 손을 놓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끌 듯 나아간다.
2.
머리를 시원시원하게 해 주는 통찰의 연속이다.
베르메르의 <진주 목걸이를 한 여인>에서 ‘수태고지’를 떠올리고, 고야의 <1808년 5월 3일의 처형>에서 고야의 자화상을 발견하고, 조르조 모란디의 정물화에서 병과 병, 병과 노란 천 사이의 ‘관계’를 떠올리고, 폴 세잔이 지나가듯 쓴 말 ‘윤곽’에서 세잔 회화 철학의 어느 한 핵심을 정확하게 짚어내는 것 등등.
더불어 이 책의 한 챕터인 <식탁에 앉은 유령들>은 이제껏 읽은 정물화(또는 회화 전체) 관련 해석 중 가장 인상적이었다. 같은 시기에 함께 읽었던 제니퍼 이건의 <<깡패단의 방문>>을 읽는데 이 챕터가 큰 도움이 되었다. 비록 내가 그 통찰을 제대로 짚어내 풀어내진 못했지만.
3.
고야와 조르조 모란디의 재발견이다. 베르메르야 워낙 예전부터 좋아했으니까. 하지만 고야와 모란디는 알고만 있었지 좋아할만한 구석을 찾을 수 없었다. 고야의 <로스 카프리초스>와 <1808년 5월 3일의 처형>이 얼마나 대단한지, 모란디가 정물화 속에서 해낸 게 무엇인지. 내게는 재발견이라는 말도 모자란다.
4.
“원작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작품에서 뿜어져 나오는 빛은 복제하면 아주 형편없기 때문이다.” 저자가 가장 좋아하는 조르조네의 <폭풍우>를 보기 위해 베네치아의 아카데미아 미술관을 몇 번이고 방문한다. 사사키 아타루의 자세와 동일한 것을 이 책의 저자에게서도 똑같이 느꼈다.
5.
가십성 정보지만, 은근 흥미로운 사실.
추상표현주의의 대가로 알려진 조안 미첼과 폴 오스터가 아주 친한 사이였다는 점. 조안 미첼을 통해 폴 오스터가 사뮈엘 베케트를 만나게 되었다는 점. 그리고 폴 오스터가 저자 시리 허스트베트의 남편이라는 사실.
고야의 <1808년 5월 3일의 처형>에서 아무도 알아보지 못한 고야의 얼굴을 발견하고 그 사실을 알렸을 때 폴 오스터 또한 단박에 알아차렸다는 점. 뉴욕에 돌아와서 그 사실을 전했던 저자의 친한 친구 두 명중 하나가 니콜 크라우스였다는 점.
6.
같은 출판사에서 저자의 소설(남자 없는 여름)도 나왔다. 논픽션과 픽션, 둘 다 잘 쓰는 작가는 매우 드물다. 소설도 이 작품 수준이라면, 나는 좋아하는 소설가 한 명을 새롭게 발견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