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디콘, 퀸의 베이스였던 존 디콘은 프레디 머큐리가 죽어 버리자 그대로 퀸을 떠나 활동을 접고 말아. 브라이언 메이가 주축으로 퀸을 이끌었지만 존 디콘은 프레디 머큐리가 없는 퀸을 미련 없이 떠나. 아니 음악계를 온전하게 떠나고 말아. 왜? 존 디콘에게 그 어떤 부와 명예, 각종 명성이 시시하고 의미 없는 거거든.
마치 베트맨이 없는 세상은 시시하고 살아갈 의미를 찾지 못했던 조커와 같았지. 조커에겐 돈이나 부는 시시한 거였어. 존 디콘이 그랬던 거야.
록의 전설 레드 제플린 다 알지? 이 위대한 밴드에서 드럼을 치던 최고의 드러머 존 본햄, 존 본햄은 술꾼으로 유명했는데 소문처럼 술을 너무 좋아해서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 집에서 보드카를 연거푸 40잔을 내리 마시고 잠이 들어 영영 일어나지 못했지. 그해가 1980년.
레드 제플린이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을 때야. 드러머는 많고 새로운 드러머를 영입하면 되는데 존 본햄을 대처할 드러머는 없다며 그대로 레드 제플린은 해체해 버려. 존 본햄이 없는 레드 제플린은 의미가 없다는 거야. 그들에게 부와 명성, 인기는 시시한 거거든. 레드 제플린으로 음악을 같이 할 수 없다면 그저 시시할 뿐이었지.
퀸은 록을 하던 뮤지션들에게 인정받지 못했어. 영화에 다 나오는 거 봤지? 정통 록이 아니라는 이유야. 프레디는 퀸으로 록의 [틀]을 깨버렸지만 음악계는 퀸을 이상한 [것]으로 치부했지. 하지만 대중은 퀸의 음악을 찾아서 듣기 시작했고 퀸이 움직이는 곳을 따라다녔어. 틀에서 벗어나거나 틀을 깨버리면 틀을 이루고 있는 보수적인 사람들에게 공격을 받아.
우리는 사실 내색하지 않지만 우리와 다르면 잔인할 정도로 무섭게 공격을 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잖아. 장애를 가진 사람은 단지 불편할 뿐인데 아픈 사람으로 보잖아. 퀸은 음악평론가들에게 늘 저평가를 받았지. 위에서 말한 것처럼 틀을 깬 록을 했기 때문에 불분명한 음악이라는 이유였지.
근데 프레디는 이에 휘둘리지 않고 하드록, 글램록(데이빗 보위가 하던 록), 프로그래시브, 펑크, 디스코, 오페라 록 등 새롭고 신선하고 때로는 기괴한, 지구상에 나와 있는 모든 음악을 건드렸고 멋지게 해냈지. 그리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어. 그럴수록 음악평론가들에게는 더욱 쓴소리를 듣는 저평가 그룹이 되었지.
우리나라에도 퀸처럼 1집부터 모든 음악을 앨범에 다루었고 다양한 음악을 접목시킨 가수가 있었지. 바로 신해철, 그의 밴드 [넥스트]야. 신해철 형님도 퀸의 굉장한 팬이어서 앨범도 퀸의 커버를 오마주 했잖아.
신해철의 앨범을 다 들어보잖아? 그럼 이 사람은 정말 음악을 사랑했구나, 이 사람의 돌파구는 음악이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돼.
신해철의 음악을 신랄하게 저평가 한 여러 평론가들과 사람들이 있었지. 그중에는 [언니네 이발관]의 이석원도 있었어. 당시 회사원이었던 이석원은 그 좋은 머리로, 그 글빨로 신해철의 음악에 대해서 오목조목, 길게도 써서 공격을 했었지. 후에 이석원이 음악을 하면서 음악이 이렇게도 힘든 것이구나, 신해철을 저평가했던 자신을 반성하면서 후에 신해철을 찾아서 용서를 빌고 화해를 하지. 그 과정이 길고 재미있는데 여기서는 패스할게 ㅋㅋ. 그래서 나중에 언니네 이발관 3집 광고의 내레이션을 신해철이 맡아서 해 주기도 하면서 영차영차 밀어줬지.
신해철 형님이 이 세상에 없기에 비로소 그의 음악이 명반에 오르고 재평가를 받고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부분은 안타깝지만 퀸 역시 프레디 머큐리 사망으로 퀸의 음악이 재평가를 받는 기회를 얻었지. 이 두 그룹을 꾸준하게 지지한 음악평론가가 있었는데 누구? 바로 임진모 형님이야. 이 형님은 이 두 그룹이 주는 즐거움, 놀라움을 책과 입으로 피력했어.
음악은 예술이지만 음반은 산업이기에 프로 가수가 되면 이해관계에서 자유로울 수만은 없지. 그렇지만 퀸이나 신해철을 보면서 음악 그 이외에는 시시한, 그래서 음악이 아니면 가족으로 눈을 돌렸던 이 미치도록 그리운 예술가들의 음악을 듣는다는 건 소확행이 아니라 대확행이야.
신해철은 이 몇 곡 안 되는 앨범 속에 큰 세계를 축소시켜 놨어. 음악적으로는 신시사이저로 후지산의 폭발 같은 풍부한 음을 표현했는데 이런 곡들은 녹음을 잘해야 하는 걸로 알아. 작곡자의 편곡이 생각처럼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녹음이 되어야 하거든. 녹음실이라든가 장비, 기술 같은 것들에 따라 듣는 이들의 실망과 행복의 폭이 커버리기 때문이야.
신해철이 재즈카페 앨범을 만들었을 때는 그 앨범을 레코드 가게에서 입고를 시켜주지도 않았어. 당시 대한민국에 발라드 열풍이어서 한국 가수가 발라드가 아니면 레코드 가게에서는 쳐다보지도 않았던 시기였어. 그런데 가요제에서 대상 먹은 신해철이 기껏 만들어 온 음악이라는 게 발라드가 아닌 재즈, 펑크, 록, 랩 같은 생소한 음악이어서 외면을 받고 거절을 밥 먹듯 당했어.
넥스트 1집에 [영원히]라는 노래가 있는데 여기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은 세상에 길들여짐이라고. 남들과 닮아가는 동안 꿈은 우리 곁을 떠난다고]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꿈을 잃지 말라고 신해철은 노래로 부탁하고 위안했고 위로해 주었지.
꿈을 꿀 수 있는 상황에서 흘리는 땀과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흘리는 땀은 다르다고 그러니 나태하다고 몰아세우지 말라고 신해철 형님은 기성세대에게 말했지. 아, 보고 싶은 신해철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