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3/pimg_7369991603340528.png)
새소리
내가 일하는 건물에서 한 십 분 정도 빠르게 걸어가면 시립 미술관이 있고 그 옆에는 동헌이 있다. 옛날의 사또가 머물렀던 곳으로 근래에 지은 시립 미술관과 연결되어 있다. 오전 9시에 우체국에 볼일이 있어 들렀다가 잠시 동헌에 앉았다.
봄이다. 어제까지 입었던 두꺼운 외투를 벗어던지고 나는 저지 티셔츠를 입고 벤치에 앉아서 따뜻한 햇살을 양껏 받았다. 그때까지만 해도 계속 폰으로 라디오를 듣고 있었다. 그러다가 동헌의 정원에 나무들이 많은데 그 안에서 새들의 소리가 들렸다. 라디오를 끄는 순간 새들의 지저귀는 소리가 여기저기에서 음악처럼 들렸다. 정말이지 아름답고 좋은 소리였다. 삐육삐육, 째액째액(새소리를 이 정도로 밖에 표현하지 못하다니 빌어먹을)하는 맑고 경쾌한 소리가 내가 앉아 있는 벤치 주위에서 선물처럼 들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3/pimg_7369991603340529.jpg)
여기만 벗어나면 온통 시끄러운 자동차 소리와 사람들이 만들어낸 소음이 가득한데 이 안에서는 새들의 소리만 존재했다. 마치 공간의 벽이 밖의 소음을 차단하고 오직 동헌의 정원 속 새들의 지저귐만 들리게 한 것 같다. 그렇게 한 시간 정도 새들의 소리만 들었다. 도심지 속에 이런 공간이 있는 것도 다행스러운 일이고 그 안에서 들을 수 있는 새들의 소리는 축복에 가까웠다. 새들은 보이지는 않지만 나무들 속에서 지저귀고 있었다. 그저 나의 생각에 참새들이거니 생각했는데 소리가 다 달랐다. 강아지들도 얼굴이 다 다른데 참새라고 해서 소리가 다 같을 거라고 생각한 나는 정말 바보인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3/pimg_7369991603340530.png)
그리고 이 작은 나무속에 벌이 한 삼사 십 마리 정도 있다. 약간 떨어져서 보면 벌들은 정말 분주하다. 정말 잊고 있었는데 벌들이 다니는 걸 보니 봄은 봄이다. 검은 저지 때문에 햇살을 받은 등을 점점 뜨거워져 온다. 그 온기의 번짐이 나쁘지 않다. 이렇게 앉아 있으니 코로나, 산불, 전쟁, 선거의 후유증을 앓는 사람들에게서 잠시 벗어날 수 있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13/pimg_7369991603340531.png)
10시가 넘어 어르신들이 하나 둘 들어오니 이상하게도 새들이 조용해졌다. 나 혼자 있었을 때는 오케스트라처럼 서라운드 돌비 시스템처럼 여기저기서 팡파르를 울리던 새들이 조용해졌다. 사람들이 많아져 사람들의 말소리가 늘어나니 새들의 소리는 줄어들었다. 그런 것을 보면 코로나 초기 사람들의 왕래가 사라진 곳곳에서 동물들이 활개를 치던 기사를 본 것이 떠올랐다.
이제 일어나서 가자. 당근 케이크가 있어서 그것을 좀 먹자. 그리고 새들의 소리를 기억하며 일과를 보내자. 새들도 저토록 열심히 저저 귀고 있으니까.